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04 18:51 수정 : 2006.06.05 17:21

신발=나를 담는 그릇

생각 키우기/생각의 불꽃을 타오르게 하는 질문

신발처럼 나의 몸과 생각을 옮겨주는 것들, 나를 공간이동하고 여행하게 하는 것들은 어떤 것일까요?

영화 <천국의 아이들>(사진)은 신발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여동생 자라의 신발을 잃어버린 오빠 알리는, 동생에게 신발을 마련해 주기 위해 3등에게 상품으로 신발을 주는 전국마라톤대회에 나갑니다. 기어코 1등이 아닌 3등을 해야만 하는 영화, 천국의 아이들은 신발이 무엇을 상징하는지, 어떠한 생각을 담고 있는지 명쾌하게 보여줍니다.

영화감독은 왜 하필 ‘신발’을 영화의 소재로 선택했을까요? 그리고 또 왜 하필 여동생의 신발을 잃어버린 것으로 문제를 설정했을까요?

신발은 어디론가 떠날 때 필요한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모든 신발은 사람에게 어디론가 떠나가기를, 이동하기를 요청합니다. 그러므로 신발은 지금 이곳에서 저곳으로, 현재에서 내일로, 익숙한 것에서 낯선 것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금, 신발은 기다리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신발을 신고 새로운 곳으로 움직이기를.

신데렐라와 콩쥐는 신발 때문에 인생이 변화합니다. 신데렐라와 콩쥐를 증명하는 것은 바로 신발입니다. 자신들의 발에 맞는 신발이 신분상승, 행복을 약속합니다. 신데렐라와 콩쥐팥쥐에서 신발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본인임을 증명하는데 사용되는 신발, 그리고 신분의 변화, 인생을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신발입니다.


신발을 만들어 신는 동물은 없습니다. 오직 인간만이 신발을 만들어 신습니다. 많은 문학작품에는 신발을 가지런히 벗어놓고 자살하는 사람들이 등장합니다. 신발은, 신는 것이 아니라 신발 안에 내가 들어갑니다. 그러므로 신발은 나를 담는 그릇입니다. 신발은 인간의 몸을 땅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최초의 도구입니다. 신발을 벗는 다는 것은 곧 인간이 만든 문명으로부터 벗어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역사 속에서 왕의 신발과 신하의 신발은 다르게 생겼습니다. 역사 속에서는 모든 계급과 신분이 신발의 차이로 표시되었습니다. 신발이 신분증의 역할을 한 것이지요. 이집트의 경우 노예들은 신발을 신지 못하게 했습니다. 고대사회에서 신발을 신는 것은 논밭에서 일하지 않는 것을 의미했나 봅니다.

사람이 어디론가 움직일 수 있다는 것,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은 곧 ‘자유’를 의미합니다. 영화 <천국의 아이들>에서 여동생 자라의 잃어버린 신발은, 이란 여성들의 삶이 자유롭게 움직이고 변화를 추구할 수 없는 구속의 상태를 상징하는 것은 아닐까요? 중국에서 여성들이 자유롭게 다닐 수 없도록 발을 불구로 만드는 전족제도가 있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여성에게 신발은 곧 ‘자유’를 의미합니다.

신발은 발의 확장입니다. 발은 자유로운 이동, 움직임, 변화를 상징합니다. 또한 신발의 확장은 바퀴, 자동차, 비행기로 이어지고 더 나아가 도로와 기차까지 나아갑니다.

인류가 만든 모든 도구, 물건들에게 인류의 ‘생각’, ‘사상’,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도구들은 오브제가 되어 문학과 예술작품속에서 비유와 은유, 상징으로 사용됩니다. 신발처럼 일상 속에 등장하는 모든 물건, 사물들은 사고력 교육의 중요한 텍스트가 됩니다.

사고력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날마다 신발을 신고 걸으며 뛰어다닙니다. 신화 속에서, 역사 속에서 많은 신발이 등장합니다. 그 신발들을 신고 사람들은 이동하고 움직이며, 변화하고 사유하며 문제를 해결합니다. 신발 속에는 생각이 담겨 있습니다. 지금, 우리 아이의 신발속에는 어떤 생각이 담겨 있을까요?

차오름/지혜의숲사고력교육연구원 원장, <엄마가 키워주는 굿모닝 초등 사고력> 저자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