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22 17:27 수정 : 2006.06.22 17:27

고등학생 1인당 연간 최소 10만원 부교재 구입, 실제론 가격거품 있고 채택과정도 불투명

“부교재요? 부담 안 된다면 거짓말이죠.” 고등학교 2학년인 하덕호 군은 부교재 값이 부담되지 않느냐는 기자의 물음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부교재란 각종 수업 때 교과서 이외에 사용하는 교재로서, 참고서나 문제집, 학습지 등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보충수업 교재로 문제집을 사용하고, 심지어 정규 수업시간에도 사용하는 걸 고려해 볼 때 매번 사용하는 부교재의 양과 가격은 결코 가벼이 여길만한 수준이 아니다.

교재 원가의 15~20% 채택료

최근 활발하게 부교재 가격인하 운동을 펼치고 있는 ‘부당한 부교재 가격 인하를 위한 경남운동본부’(이하 부교재 가격인하운동본부)에 따르면 출판사가 원가의 55%가 인하된 가격으로 전국의 도매점에 공급하면 도매점 10%, 소매점 25%의 중간 마진을 책정하고, 나머지는 15~20%의 영업비용으로써 부교재 채택료는 여기에서 충당된다.

이 과정에서 과다한 경쟁이 발생하면서, 도매점과 소매점들이 학교를 상대로 직접 영업활동을 벌이는 등 비정상적인 유통과정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교사나 학생들의 부교재 선택권을 침해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즉 원래대로라면 현행 부교재 가격의 20%정도 인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에 해당하는 금액이 부교재 채택료로 쓰이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학생 1인당 부교재값으로 적어도 10만원

기본적으로 고등학생들의 경우 평균 6과목에 대한 학기 중 보충수업과 여름 겨울방학 보충수업의 부교재를 구입하므로 연간 18권 정도가 의무적으로 사야하는 부교재 권수이다. 문제집 한 권당 가격이 보통 1만원이라고 치면, 최고 18만 원을 해마다 꾸준히 부담하고 있는 것이다. 일부 교재는 2만원을 호가하는 것도 있어 이 경우 연간 부교재 구입비는 최대 40만 원에 이른다.

그렇다고 부교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걸까? 김선민 (고1)양은 “사지 않으면, 수업을 아예 못하니까 ”라며 사실 많이 부담된다고 했다. 현재 학교에서 3~5권의 부교재를 쓰고 있다는 김 양은 “한 권당 평균 10,000원 정도하는데, 처음에 사러 갈 때 많이 부담됐다.”고 답했다.

하덕호 군도 “학기 초마다 부교재 값으로 10만 원 정도 쓰는 것 같다.”며 “실제로는 7,8권 되는데 그 중에 꼭 필요한 것 몇 권만 골라서 그나마 이정도 드는 것이다. 작년에는 신입생이라서 부교재로 채택된 걸 전부 다 구입했더니 20만원 가까이 들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부교재 값이 부담된다는 건 거의 모든 학생들이 동의할 것.”이라며 “우리가 공부하는데 필요하긴 하지만, 경제적으로 너무 부담된다. 솔직히 부모님께 책값으로 10만원씩 달라고 하면 죄송하다.”라고 말해 학생들이 느끼는 가격부담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실제로 부교재 채택료로 인한 15~20%의 거품을 제거한다면, 1인당 부교재 구입비 중 27,000원에서 60,000원을 더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

“그냥 선생님이 사라고 해서...” 교재 채택시 학생의견 반영 안돼

또한 부교재 채택과정에서 학생들의 의견은 전혀 반영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A라는 교재가 채택됐다고 하자, 왜 이 교재를 선정했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교사는 거의 없다. 어쩌다 학생이 질문하면 “이 교재가 다른 책들보다 낫다.” 혹은 “학기 중에 다 끝내야하니까 적당량이 있는 것으로 정했다.” 수준의 답변이 돌아올 뿐이다. 이렇게 투명하지 못한 부교재 채택과정은 ‘채택료’라는 부조리한 관행에서 비롯된다. 결과적으로 채택료로 인한 거품 가격 부담은 고스란히 학생들의 몫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관행을 없애고 부교재 가격인하를 위해 출범한 부교재 가격인하운동본부는 지난 1일부터 10만인 서명 운동을 진행 중이다. 놀라운 점은, 이를 시작한지 일주일 만에 4만 명이 참여할 정도로 학생, 학부모, 교사들의 뜨거운 지지를 얻고 있다는 것이다. 쉬쉬하고 있었을 뿐이지, 그동안 부교재 가격 부담에 대한 이들의 불만 또한 상당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지난 EBS 감사 결과, 수능교재 판매로 약 400억 원의 폭리를 취한 것으로 드러나 많은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이 배신감을 느꼈다. 그러나 부교재 구입과 관련한 비리는 이뿐만이 아니다. 무엇보다도 학생과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해야 할 학교에서 이러한 부조리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교육당국은 하루 속히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

박소희 기자 sost38@nate.com
ⓒ2006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