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7.02 19:24 수정 : 2006.07.03 14:47

톡톡 스크린 영어 / 나니아 연대기-사자와 마녀와 옷장(4)

I was too hard on him (내가 그에게 너무 매정했어요)

형 피터를 제치고 왕이 되게 해주겠다는 백색 마녀(White Witch)의 달콤한 사탕발림에 넘어간 에드먼드. 다른 남매들이 비버에게서 아슬란(Aslan)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듣고 있을 때, 에드먼드는 혼자 마녀의 성으로 찾아갑니다. 하지만 형제를 배반하려던 에드먼드에게 돌아온 것은 마녀의 가혹한 처벌과 감금이었지요. 에드먼드를 구출하기 위해, 다른 남매들은 마녀와 대적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로 나니아의 봄을 되찾기 위한 전쟁을 준비하고 있는 아슬란을 찾아 나서게 됩니다.

Aslan : Welcome, Peter, Son of Adam. Welcome Susan and Lucy, Daughters of Eve. And welcome to you Beavers, you have my thanks. But where is the Fourth?
잘 왔다, 아담의 아들 피터. 이브의 딸 수잔과 루시, 잘 와주었구나. 비버부부 역시 반갑고도 고맙다. 그런데 네 번째 아이는 어디 있느냐?


Peter : That's why we're here, Sir. We need your help.
바로 그 때문에 여기에 왔습니다. 저흰 당신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Susan : We had a little trouble along the way.
오는 길에 작은 문제가 있었어요.

Peter : Our brother's been captured by the White Witch.
우리 동생이 백색마녀에게 잡혔습니다.

Aslan : Captured! How could this happen?
잡혔다고! 어떻게 된 일이지?

Mr. Beaver : He betrayed them, Your Majesty.
에드먼드는 형제들을 배신했습니다, 폐하.

Oreius : Then he has betrayed us all!
그렇다면 그는 우리 모두를 배신한거요!

Aslan : Peace, Oreius. I'm sure there's an explanation.
진정하거라, 오리어스. 뭔가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Peter : It's my fault really. I was too hard on him.
이건 정말 제 잘못입니다. 제가 동생에게 너무 매정했어요.

나니아에서의 유일무이한 존재로서 추앙받는 아슬란은 위엄을 갖춘 사자의 모습이었습니다. 그는 아이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이름을 부르며 환영의 뜻을 전달합니다. 그리고 무사히 이들을 데리고 온 비버 부부에게도 환영과 함께 감사인사를 전하지요. You have my thanks는 격의 없이 쓸 수 있는 thank you와 비교해서 예의를 갖춘 인사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네 명의 남매 중 하나가 빠진 것을 알아차리고 질문하는 아슬란에게 “That's why we're here”라고 답하는 피터. 여기서 ‘That's why ~’는 ‘~한 이유가 바로 그거야’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That's why they'll win the World Cup.
그렇기 때문에 그들이 월드컵을 차지할거야.

I'm your mommy, that's why.
난 네 엄마잖니. 그게 바로 이유야.

네 명의 남매 중 한명이 빠진 점, 바로 그 빠진 한명을 구해내기 위해 이 자리에 왔다는 점을 피터는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had a little trouble은 작은 문제가 생겼다는 의미입니다. along the way, 오는 길 도중에 말이지요.

our brother에서의 brother를 살펴보면, 영어에서는 오빠나 형, 남동생을 모두 ‘brother’ 라고 칭합니다. 언니, 누나, 여동생 역시 sister 라고 하지요. 하지만 bother 나 sister 가 호칭으로 잘 쓰이지는 않습니다. 손 윗 형제라 하더라도 가끔 sis(ter), bro(ther) 라고 가볍게 칭하기도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름을 주로 부르지요. 그러니까 동생 에드먼드가 형을 피터(Peter)로, 루시(Lucy)도 언니를 수잔(Susan)이라고 부른다는 겁니다. 또 동생이냐 아니냐 하는 구별도 big bother, little sister 같이 big 과 little을 붙이는 것으로 표현하지만 항상 붙여주는 것은 아닙니다. 손 아래위 구별이 엄격한 우리 문화와는 사뭇 다른 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에드먼드가 마녀의 손아귀에 있다는 사실에 놀란 아슬란. 비버의 말대로 형제를 배신한 에드먼드이기에 아슬란의 군사들도 분개하고 동요합니다. 하지만 아슬란은 현명하게 피터에게 그 이유를 묻습니다. 에드먼드의 배신이 자신의 잘못이라고 밝히는 피터. It's my fault. 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책임을 지고자 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또 “I was too hard on him.”에서 ‘hard on ~’은 ‘~에게 가혹하다, 모질다’라는 말입니다.

You were hard on your little sister.
넌 네 동생에게 모질었어.

동생을 구하기 위해 아슬란과 함께 마녀와의 전쟁에 참가하게 된 아이들. 이들은 앞으로 나니아에 전해져 내려오는 예언대로 과용감한 왕과 여왕이 될 수 있을까요? 절박한 상황 속에서도 우애를 잃지 않는 이 남매들과, 절대존재로서의 풍모를 자랑하는 사자왕 아슬란의 활약을 계속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현주/영어교육 사이트 쑥쑥닷컴 대표

That's why we're here.
바로 그 때문에 여기에 왔습니다.

We had a little trouble along the way.
오는 길에 작은 문제가 있었어요.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