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7.05 18:51 수정 : 2006.07.05 22:22

교육혁신위 교원양성정책 시안
이르면 2008년부터 평점 C 미만 자격증 안 주기로
사범대 대신 6년제 교원전문대학원 도입도 추진

사범대 등 4년제 교원 양성과정 대신 6년제 교원전문대학원 도입이 추진된다. 또, 교육대·사범대를 졸업해도 학점이 나쁘면 교원자격증을 받지 못한다.

교육혁신위원회(위원장 설동근)는 교육부가 낸 교원 양성 정책방안(시안)을 토대로 이런 내용의 교원양성체계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5일 밝혔다. 이 방안은 교육혁신위 교원특위에서 교원·학부모단체와 교육 전문가들이 합의한 안으로, 혁신위는 다음주 열리는 본회의에서 최종 방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최종안이 통과되면 이르면 2008학년도부터 시행된다.

이 방안은 현행 4년의 교원 양성 과정으로는 교원의 능력을 높이고 교육실습을 내실화하기 어렵다고 보고, 양성 기간을 5년 또는 6년으로 늘리기로 했다. 정부 산하에 교원양성체제 개선위를 구성해, 6년제 교원전문대학원으로 운영할지 5년제 학·석사 통합형으로 운영할지 등 구체적 방안을 2010년까지 확정하기로 했다.

양성 기간을 늘릴 경우 교원의 전문성이 크게 높아지지만, 교육기간 연장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혁신위는 교원전문대학원 도입을 위해 기존 사범대·교육대학원 등 요건 충족 대학을 단계적으로 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했다.

혁신위는 또 교대·사대를 졸업하거나 일반대 교직과정을 이수할 경우 지금은 시험 없이 교원(2급 정교사) 자격증을 주지만 앞으로는 일정한 평점에 못미치면 교원자격증을 주지 않도록 했다. 교육부는 혁신위에 ‘대학 재학 중 평균 평점이 C학점 미만인 경우’로 제안했는데, 혁신위는 평균 평점이 100점 만점에 70점(Co) 또는 75점(C+) 미만인 경우 교원자격증을 주지 않는 방안을 마련했다. 수업에 충실해져 교원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학점이 낮다는 이유만으로 자격증을 주지 않는 것은 과하다는 지적도 만만찮다.

혁신위는 이밖에 사범대 등 교원양성기관에 교원자격심사위원회를 두어 교육과정 최소 기준 이수 여부 및 교직 적성·인성 평가 등을 거쳐 적격자에게만 교원자격증을 주도록 했다.

교원 양성 과정의 현장성 강화도 추진된다. 사범대 등 교원양성기관은 현장 교사를 겸임교수 또는 초청강사로 활용해야 한다. 또 농·산·어촌 교사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교육대 입학전형에서 교육감 추천 전형과 농어촌 지망교사 특별전형을 확대하기로 했다. 허미경 기자 carme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