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7.09 20:48 수정 : 2006.07.10 13:49

(왼쪽 - 사진1) (오른쪽 - 사진2)

홍현주 엄마표 영어

요즘은 온갖 상표와 학용품에 어줍잖은 영어 천지라 아이들에게 한글과 알파벳, 모두 친근한 문자이다. 주변에 워낙 영어 간판이나 상표가 많아 영문자를 가르치기는 어렵지 않다. 굳이 알파벳 차트나 플라스틱 글자 모형을 사지 않더라도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대체로 대문자 다음에 소문자를 배워야하는 것으로 생각하나 어차피 같은 음을 나타내는 상징들이므로 이 둘을 함께 가르쳐도 된다. 글에는 대문자보다 소문자가 더 많이 쓰이기 때문에 소문자를 나중에 가르칠 필요가 없거니와 대문자를 다 기억하고 나서 같은 음가를 가진 다른 문자가 나오면 혼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알파벳을 가르칠 때 대문자는 ‘엄마 글자,’ 소문자는 ‘아가 글자’라고 말해준다. 그리고 대문자를 읽을 때는 어른 목소리로, 소문자는 아기 목소리로 읽어주자.

또 게임처럼 재미있게 문자를 익힐 수도 있다. 별다른 것은 아니고 집에 있는 A4용지, 색연필 또는 마커만 있으면 된다. A4용지를 반으로 잘라 한 면에 대소문자, 예를 들어 A a를 쓴다. 이 때 키높이를 잘 맞추어 A는 키가 크게 a는 키가 작게 쓴다. 이를 카드처럼 넘기며 엄마소리와 아가소리를 번갈아 내면서 읽어준다. 또 역할 놀이를 하는데 아이더러 엄마 소리를 내게 하고 엄마는 애기소리를 내거나 그 반대로 연기하면 아주 재미있어 한다.

이 카드들을 빨래 집게나 클립을 이용해 만국기를 만들어도 되고 방바닥에 펼쳐놓고 소리를 듣고 달려가 밟는 게임을 해도 된다. 누가 먼저 찾나 경쟁을 해도 재미있다. 나중에 이 카드들을 모아 묶어서 종이의 빈 공간이나 뒷면에 해당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모아 나의 사전 “My Dictionary”를 만든다. (사진 1).

글자 변환놀이도 재미있다. 주변에 보이는 상표는 대부분 대문자로 쓰여 있다. 이것을 ‘아가상표’로 바꾸자고 한다. 예를 들어 SAMSUNG은 samsung, LG는 l g로 바꿔본다. 이때 소리는 아가소리로 한다. 그리고 집의 차 이름도 sportage, sonata로 바꾸게 유도한다. 이 때 “맨 앞에 엄마가 서서 아가들을 지켜준다”고 하면서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쓴다는 점을 일깨워준다. 그리고 나서 “제대로 영어처럼 읽어볼까?”하면 제 목소리로 ‘삼성’을 읽게 하면 된다. 식구들 이름도 이와 같이 첫 글자만 대문자로 쓰게 연습하면 좋다.

글자를 직접 쓰게 가르치고 싶으면 A4용지에 선을 세 줄 그어 연습장을 만들어준다. 이 때 가운데 줄은 표시를 달리해 기준선으로 한다. 이 정도는 평범하므로 다소 새롭게 하기 위하여 두꺼운 종이에 줄을 치고 문방구에서 코팅지를 사다가 앞뒤에 붙인다. 여기에 싸인펜이나 색연필을 이용해 써보게 하고 아세톤이나 보어드용 크리너를 뿌려 지우고 또 쓰게 하면 아이들은 놀이로 생각한다.


소문자는 쓰기가 조금 어려운데 각기 모양에 따라 이야기를 만들어 준다. 예를 들어 칸을 일컬어 기준선 위 칸은 1층, 맨 위칸은 2층, 그리고 맨 아래칸은 지하실이라고 한 다음 소문자의 키에 따라 모양을 묘사한다. 이렇게 하면 복잡한 소문자도 금방 기억한다. 다음 은 몇 글자만 예를 든 것이다.(사진 2)

a, c, e, m 등 : 키가 작은 친구들, 일층에 모여 사네

a : apple의 a는 동그라미 위에 모자가 있어.

m : milk의 m은 올라갔다, 내려갔다. 한번 더 올라갔다 내려갔다.

b, d, l : 키가 커서 형인가? 2층까지 손이 닿네.

b : boy의 b는 2층 가서 빵을 먹고 배가 불룩.

d : dog의 d는 b랑 쌍동인가? 아니야, 배가 왼쪽으로 불룩해.

g, q, y : 꼬리 달린 친구들, 지하실로 내려가네.

g : go의 g는 꼬리가 동그랗게 말렸지.

y : year의 y는 미끄럼틀 쫙! 지하실로 꼬리가 내려가 버렸네.

<교실영어>

수업 시간에 철자법을 배우고 있습니다.

Ms. Shaw: Does anyone know what two letters make up the /sh/ sound?

Linda: Yes. The letter s and the letter h.

Ms. Shaw: Good job. Do you know why they are special?

Linda: The two letters make only one sound.

선생님: 어떤 두 글자가 /sh/소리를 내는지 아는 사람 있나요?

Linda: 네. s자하고 h자입니다.

선생님: 잘 했어요. 그게 왜 특별한지 알아요?

Linda: 두 글자인데 한 음만 나요.

letter는 문자이고 sound는 음입니다.

make up은 ‘무언가를 구성하다’는 뜻이 있습니다.

약간의 아이디어와 창의성만 있으면 비싼 교재나 시디롬 등을 쓰지 않고도 영어 공부가 즐거워진다. 비단 알파벳이나 단어 뿐 아니라 문장 익히기나 글쓰기도 조금만 생각하면 놀이처럼 할 수 있다.

경성대 영문과 초빙교수, <부모를 위한 초등 6년 영어 관리법> 저자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