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7.10 20:34 수정 : 2006.07.10 21:33

정규수업 시간에 프로그램 진행 ‘무리수’도

[집중점검 방과후 학교](상)운영실태

방과후 학교는 노무현 대통령이 “국채를 발행해서라도 지원하겠다”고 공언할 정도로 애착을 갖고 있는 정책이다. 청와대가 나서 방과후 학교에 ‘올인’하는 분위기를 만들다 보니 교육 당국의 ‘의욕 과잉’에 따른 무리수도 잇따르고 있다.

충남도교육청은 지난달 일선 학교에 공문을 보내 방과후 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 홍보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 ‘방과후 학교 홍보강화 추진계획’이라는 제목의 이 공문에는 “방과후 학교와 관련된 신문·방송 홍보 실적, 각종 연수 및 회의시 홍보 실적, 현수막 설치 횟수 등 기타 홍보 실적을 매달 25일까지 보고하라”고 적혀 있다.

대전시교육청은 방과후 학교 참여율이 예상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자, 5월부터 ‘방과후 학교 활성화 10대 혁신전략’을 수립해 실적 올리기에 나서고 있다. ‘방과후 학교 텐 업 플랜’(10% 성과 올리기)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 혁신전략에는 △학교별로 방과후 학교 태스크포스팀 운영 △교육청·대학·언론사 협력 방과후 학교 △방과후 학교 톱-스쿨(최우수학교) 표창 등이 포함돼 있다. 대전시교육청은 매달 한 차례씩 방과후 학교 담당자 회의를 열어 실적을 점검하고 있다. 회의에 참석한 ㅅ중 김아무개 교사는 “교육청 쪽에서 참석자들에게 방과후 학교 참여율을 40%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올해 목표로 제시했다”고 말했다.

경북 영덕에서는 교육청이 한 영어학원 원어민 강사와 계약을 맺고 관내 모든 초등학교에서 정규 수업 시간인 3~4교시에 방과후 학교 영어수업을 진행하려다 ‘교육과정 파행 운영’이라는 비판이 나오자 이를 취소하기도 했다. 이종규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