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원호/서울 중등고 화학교사
|
① 탐구제목 : 대개 제목을 폭넓고 거창하게 잡으려는 경향이 있는데, 넓은 범위의 제목은 전체적인 흐름을 일관성 있게 진행하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가급적 구체적이며, 제한된 범위로 한정하여 써보자. ② 탐구목적 : 탐구목적은 탐구동기로 표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탐구주제를 정하게 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그냥 궁금해서, 결과가 멋있을 것 같아서’ 등의 탐구동기는 탐구의 방향을 제시해주지 못한다. 어떤 현상에 대한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근거를 제시하면서 더 알아볼만한 이유가 있음을 제시하여야 앞으로 어떤 탐구를 할 수 있을지 방향이 정해진다. 2. 원리 및 이론 단계 다음 단계는 자신이 탐구할 내용을 뒷받침할 이론, 법칙, 사실에 관해 언급하는 부분이다. 과학논술은 일반논술과 달리 자신의 주장에 대한 논거를 지금까지 밝혀진 이론, 법칙, 사실에 근거해 제시하기 때문에 그 이론을 명확히 정리하여 자신의 주장에 대한 오해의 가능성을 없애야 한다. 과학논술에서는 주로 제시문에 원리 및 이론 단계에 해당하는 정보들이 주어지는데, 주어진 정보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정확히 선택하여 자신이 사용할 이론, 법칙, 사실들에 관해 정리해 주어야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 선택 능력은 학교에서 공부하는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교과서에 등장하는 이론을 얼마나 많이 이해하고 있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에 대학입시를 위해 자신이 선택한 특정 과목의 내용만 집중적으로 편식하는 학습방법은 위험하다. 3. 탐구설계 및 결과 단계 과학탐구에서 학생들이 종종 실수하는 것은 탐구과정이 탐구문제나 가설과 불일치한다는 것이다. 연구자가 탐구목적에 관해 깊이 고민하지 않은 상태로 탐구를 설계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탐구결과도 탐구문제와 연구가설을 증명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지 않고, 자신이 얻은 결과를 단순히 나열하는 것에 그치곤 한다. 그러므로 탐구문제와 탐구가설을 증명할 수 있는 형태로 연구를 설계하고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지,꾸준한 훈련이 필요하다. 대개 과학논술에서는 탐구설계 및 결과에 해당하는 내용이 과학논술문의 논제나 제시문의 정보로 주어져 결과를 해석하도록 요구하기도 하고, 문제와 원리를 제시문에서 제공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탐구설계를 요구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과학탐구에서 일관성 있게 탐구를 설계하고 결과를 도출하는 훈련은 과학논술의 본문 작성 훈련이기도 하다. ① 탐구가설 : 가설은 어떤 효과를 주었을 때의 예상되는 결과를 서술하는 곳으로 단순한 효과보다는 방향성이 제시되어야 한다. 단순히 ‘~과 ~의 관계’로 표현되는 가설은 연구설계를 어떻게 해야할 지 정보를 제공해주지 못한다. 탐구가설은 가급적 ‘~할수록 ~할 것이다’ 식의 표현을 써서 어떤 조건을 어떤 방향으로 실험하여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해야한다. ② 변인 : 곧바로 탐구설계에 들어가는 것보다는 독립변인, 종속변인, 통제변인을 구체적으로 먼저 제시한 뒤 탐구설계를 하면 실제로 어떻게 실험이 진행되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학생들은 막연히 ‘온도를 높인다, 물을 많이준다’ 식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표현은 아무런 정보를 주지 못한다. ‘온도를 몇 ℃로 어떻게 올려주는지, 물을 몇 mL로 어떤 주기로 주는지’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써보면 막연하던 탐구설계를 구체화시킬 수 있다. ③ 탐구설계 : 탐구설계는 설정한 변인을 이용하여 어떻게 실험하는 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으로 탐구자가 얼마나 실험을 잘 이해하고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기 때문에 자신의 관점이 아니라 글을 읽는 사람이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을 해야 한다. ④ 탐구결과 : 탐구는 정성적인 연구도 있지만 탐구결과를 정량화하여 다른 사람에게 쉽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정량적 연구를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 정량적인 탐구의 결과는 표나 그래프를 이용하여 제시해야 하고 표나 그래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덧붙여 탐구결과를 읽는 사람으로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 탐구의 결론 단계 과학탐구에서 결론은 자신이 얻은 탐구결과를 탐구목적과 가설에 비추어 해석하는 곳으로 과학논술의 본문이나 결론에 해당한다. 결론은 구체적으로 써야 한다. ‘좀 더 알아보아야 하겠다’, ‘미비한 점을 더 보완해야 하겠다’ 식의 막연한 결론은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렵다. 좋은 결론을 쓰기 위해서는 탐구결과를 탐구의 목적과 가설에 비추어 종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최원호/서울 중동고 화학 교사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