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8.17 15:34 수정 : 2006.08.17 21:47

창의적 사고능력.과학영재 잠재성 측정에 초점

국내 유일의 영재학교인 한국과학영재학교 2007학년도 신입생 144명이 19.9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뚫고 합격의 영예를 안았다.

이 학교의 신입생 정원 144명 모집에 2천874명이 몰려 경쟁률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첫 신입생을 뽑았던 2003년 8.29대 1, 2004년 11.15대 1, 2005년 16.04대 1, 2006년 17.35대 1 등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그만큼 영재학교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증거인 셈이다.

과학기술부와 부산광역시교육청은 2007학년도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신입생 선발을 위해 선정추천위원회를 구성, 세부적인 전형요강을 마련해 ▲서류심사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검사(필기시험) ▲과학캠프 및 면접 등 3단계 평가를 거쳐 신입생을 선발했다.

위원회는 "영재판별에 신중을 기하기 위해 전형과정을 3단계로 구분했다"면서 "각 단계별 전형 과정은 과학영재의 잠재력과 창의적 사고능력 등을 신뢰성 있게 평가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특히 잠재적 영재 선발을 위해 영재학교 지원자격에 중학교 1,2,3학년과 함께 고입 검정고시 합격자를 포함함으로써 일반 고교와 달리 중학교 졸업생이라는 자격제한을 두지 않았다.

과학분야에 뛰어난 영재성과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는 중학교 1학년 이상이면 누구나 지원토록 함으로써 과학영재 여부를 판별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한 것이다.

우선 1단계 서류심사는 학생의 과학영재성을 입증할 수 있는 종합적인 기록물을 평가하는 과정으로, 학교성적, 자기소개서, 추천서, 수상실적 등을 제출토록 함으로써 학생의 과학 영재성을 다면적으로 확인한다.


전문가 9명으로 구성된 서류전형 평가위원회를 통해 총 지원자 2천874명 중 1천800명이 1단계를 통과해 2단계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평가하는 필기시험을 치렀다.

2단계에서는 중학교 수준의 개념으로 생활 속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춰졌다. 일반 경시대회와 달리, 학생들이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논리적이면서도 독창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를 평가했다.

이번 합격자 중에서 중학교 1학년 4명, 2학년 29명이 포함된 것도 연령이나 학습제한을 넘어서 창의성과 과학적 잠재성을 측정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기 때문이다.

3단계 과학캠프에서는 4박5일간의 캠프활동 속에서 높은 수준의 창의력과 탐구능력을 요구하는 연구과제를 제시, 창의적 사고력과 문제 발견 능력, 고차원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했다. 수학 구술평가, 과학실험 평가, 문제해결력 평가, 강의를 통한 학습태도, 학업 성취도, 과학구술 평가 등 5개 영역에 걸쳐 평가가 이뤄졌다.

이같은 1-3단계 평가를 통해 지원자들에게 과학영재로서의 도전정신, 과제 집착력, 탐구능력과 창의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기회와 독창적인 사고와 주장을 다른 사람에게 논리적으로 전달하는 의사소통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됐고 이 중에서 창의력과 영재성, 잠재능력이 가장 우수한 144명이 뽑혔다.

위원회는 3단계 과학캠프에서 최우수 성적을 얻은 학생을 분석한 결과, 공통으로 어린 시절부터 자연현상과 과학적 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뛰어난 관찰력을 키워왔으며 실험을 통한 과제 수행능력, 연구과제 해결력, 탐구력, 창의적 사고력이 아주 높은 수준이었으며 과제 집착력과 인내심이 높은 것으로 관찰됐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합격자들은 리더십, 작문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특히 독서량이 많았고 매사에 최선을 다하고 진취적이며 진솔한 성격, 자연의 소중함을 아는 감수성, 풍부한 학습경험, 자연보호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와 행동이 두드러졌다고 덧붙였다.

이정내 기자 jnlee@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