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생들이 주산지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경북 청송군 둘러보기
테마가 있는 체험학습 이번 여름방학 동안 아이들과 체험학습 겸 나들이 장소로 정한 곳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청송군이다. 청송군의 주산지는 김기덕 감독의 <봄, 여름, 가을 , 겨울 그리고 봄>이라는 영화로 잘 알려진, 멋진 경치를 가진 곳이기도 하다. 여행을 가기 전 청송군 사이트(tour.cs.go.kr/culture)를 찾아 미리 청송군을 둘러보고 무료로 보내주는 관광안내책자도 신청을 해두었다. 또 청송군에 관련된 자료들을 인터넷에서 찾아 워크북을 만들어 보았다. 일단, 숙박은 ‘송소고택’으로 정해 예약을 하였고 주왕산, 주산지, 한지 체험장, 야송 미술관, 청송5일장 등을 가보기로 했다. 서울서 청송까지 4시간이 넘게 걸리는 여행길, 아이들과 미리 준비한 청송에 대한 여러 가지 퀴즈 맞추기 놀이를 했다. “청송의 특산물은 뭘까요? 힌트는 뉴턴, 아담과 하와”라고 말하니 아이들이 “사과!”를 외친다. “맞아, 바로 꿀 사과란다. 그렇다면 중국 당 나라 때 진나라의 부활을 꿈꾸며 반란을 일으킨 주 왕이란 사람이 숨어들어와 살다가 신라 마 장군 형제에 의해 죽임을 당하고 그 피가 흘러나와 주방천을 붉게 물들였는데, 그 때 핀 꽃의 이름은 무엇일까? 진달래와 비슷한 이름을 가졌고, 5월 초순에 청송에서는 이 꽃 이름이 들어간 제례도 치른다고 하네요.” “정답! 수달래요!” 아이들과 청송의 동물은 수달이고 청송의 군조는 꿩이고, 청송 심씨중 세종대왕의 왕비인 소현 왕후에 얽힌 이야기들을 풀어놓으며 가다보니 어느덧 안동까지 와 있다. 안동에서 간 고등어 정식을 먹으며 왜 바다도 아닌데 안동은 간 고등어가 유명한지 물어보는 아이들에게 내륙지역인 안동사람들이 냉동시설이 없던 시절, 고등어를 먹기 위해 간을 해서 저장했는데 그게 유명해져서 지금까지 이어져온다고 설명해주니 아이들이 고개를 끄덕인다. 청송군 진보면을 지나 파천면에 들어서니 청송에 사는 무형문화재 23호인 한지장 이자성 선생님의 공방이 나온다. 미리 연락을 해두어(054-872-2489) 선생님의 한지에 대한 설명과 함께 직접 한지 만들기를 해 볼 수 있었는데, 한지를 만들고 다시 예쁜 꽃잎을 넣어 만들기도 하고 마블링 기법으로 색깔을 넣어 만드니 아이들이 너무너무 좋아했다. 우리 한지의 명맥을 이어가는 한지장인의 면모를 느껴 볼 수 있는 소중한 체험이다. 신천 약수탕 근처에 폐교를 고쳐 만든 야송 미술관에도 가보았다. 널따란 운동장과 아담한 미술관이 반겨주는 그곳에서 긴 회색머리를 질끈 동여맨 야송 이원좌 선생님을 뵐 수 있었다. 아이들에게 직접 그림을 그리게 된 계기와 대작으로 유명한 여러 그림들을 설명해주셨다. 아이들은 가로 12.7m, 세로 2.에 달하는 <주왕운수도>를 보고는 크기에 놀라고 그 작품을 완성하기 위해 들인 정성에 또 놀랐다. 이곳에는 미술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해 작은 미술 도서관도 마련해 두었다.(야송 미술관 054-870-6535)
|
무형문화재 23호인 이자성 선생님과 함께 한지 뜨기 체험을 하는 아이들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