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9.03 20:52
수정 : 2006.09.04 17:41
|
사진 1
|
홍현주의 엄마표 영어
영어를 알기 때문에 느낄 수 있는 커다란 즐거움은 장편을 읽는 맛에 있다. 등장인물의 생각, 작가의 의도 같은 전문적인 소리는 차치하고라도 동화 속에서 생긴 사건만 따라가며 읽어도 충분한 즐거움이 있다. 조금 더 나아가 어떤 사건이 문제였으며 그 문제는 어떻게 해결되었는 지를 파악하면 훌륭한 글 읽기 전략을 익히게 된다.
읽기 실력이 차츰 늘어 이제 막 챕터북(내용의 전개가 여러 장으로 이루어진 소설이나 동화)을 시작하는 어린이에게 지나치게 고차원적인 생각을 강요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비판적 글 읽기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그러한 능력을 기르는 하나의 기초작업으로 타임라인(Timeline) 만들기와 사건 기록표(Event sheet) 만들기가 있다.
복잡한 일은 아니고, 책을 읽어가면서 이야기 속에서 생긴 사건을 나열하는 작업이다. 이를 잘 정리해놓으면 독후감을 쓰는 기초 자료가 된다. 또 ‘갈등-해결’ 구조를 이해하면 에세이를 창의적으로 쓰는 글감도 만나는 셈이다. 사건을 나열한다면서 단순히 번호를 붙여가며 내용을 정리하면 지루하기 때문에 타임라인이나 사건기록표를 만들면 재미있게 책을 읽게 되고 또 책 내용을 완전히 기억하게 된다.
|
표 1
|
먼저 타임라인은 책 전체의 흐름을 보기에 적당하다. 연대 혹은 날짜를 기록해가며 만드는 것이다(사진 1). 도화지에 긴 화살표를 긋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건을 나열해도 되고, 관련 사이트(www.teach-nology.com/web_tools/materials/timeline)에 들어가 빈칸에 사건만 나열해도 다양한 디자인이 된 타임라인이 만들어진다. 사건에 관련된 그림이나 사진을 붙여도 되기 때문에 아이들이 재미있어 한다.
타임라인은 전기문이나 역사서 등을 읽고 만들면 좋다. <사진 1>은 2차 대전에 관한 책을 읽고 주요사건을 나열한 것이다. 구체적인 내용을 적을 필요 없이 중심이 되는 사건만 간결하게 나열하니 어렵지 않다. 또 나름대로 자료를 모아 디자인을 해도 된다. 반복해서 과거시제를 사용하는 연습을 하기 때문에 작문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이렇게 내용 전체를 아우르는 작업이 타임라인이라면, 각 챕터마다 발생한 사건을 따라가며 그 흐름을 나열하는 것은 사건기록표를 활용한다. 이는 상세한 책 읽기에 도움이 되고 작문을 연습하는 방법으로도 좋다. 표를 만들어 직접 타자를 치게 해도 좋고 그냥 표를 인쇄해 문장을 써넣게 해도 된다. <표1>은
시리즈 가운데 의 제1장을 정리한 것이다.
|
홍현주/경성대 영문과 초빙교수, 〈부모를 위한 초등6년 영어 관리법〉 저자
|
책을 읽으면서 이러한 활동을 겸하면 다음과 같은 점에서 영어공부에 도움이 된다.
1. 책을 요약하는 훈련을 하게 된다.
2. 순서 별로 정리 되어 내용을 기억하기 쉬워 말하기에도 도움이 된다.
3. 지나간 일을 설명하는 훈련이 된다.
4. 영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과거시제를 연습하는 계기가 된다.
5. 사건의 성격을 이해하면 비판적 책읽기를 하는 기초가 된다.
6. 여기에 자기의 생각을 약간 붙이면 독서감상문이 된다.
이러한 활동을 할 때 처음에는 단순히 사건의 발생만을 기록하다 차츰 주변의 사물이나 배경을 묘사고, 등장인물의 기분, 생각, 느낌을 첨가하면 글읽기와 동시에 글쓰기를 연습할 수 있어 좋다.
홍현주/경성대 영문과 초빙교수, <부모를 위한 초등6년 영어 관리법> 저자
|
교실영어 한마디
린다의 리딩그룹(reading group)에서 를 읽었습니다.
선생님께서 읽은 내용에 대해 질문을 합니다.
Ms. Shaw: What did Jack do when he woke up?
Linda: He put on his jeans and T-shirt.
Ms. Shaw: Why did they go to Frog Creek Wood?
Linda: They went there to climb up the tree house.
Ms. Shaw: Did they find anything special in there?
Linda: They found a book about California.
선생님: 잭이 일어나서 무엇을 했나요?
린다: 청바지와 티셔츠를 입었어요.
선생님: 왜 그 아이들이 프로그 크릭 우드로 갔을까?
린다: 나무집에 올라가려고 그리로 갔어요.
선생님: 거기서 특별한 걸 찾아냈어요?
린다: 캘리포니아에 대한 책을 발견했습니다.
현대영어는 두 단어가 합쳐서 하나의 뜻을 말하는 동사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woke up, put on, climb up이 그렇습니다. 이를 phrasal verbs 혹은 two-word verbs라고 하는데 많이 쓰이므로 잘 익혀야합니다.
|
|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