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9.24 15:40 수정 : 2006.09.24 21:16

최원호/서울 중등고 화학교사

과학논술 쓰기 연습-학생 작품 첨삭3

교과서로 끝내는 과학 논술

과학논술을 잘 쓰기 위한 연습 세번째 단계는 과학논술의 전체 뼈대가 되는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는 훈련을 하는 것이다.

‘왜 그런가’를 따져보는 비판적 사고와 동일한 현상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는 창의적 사고는 과학논술 뿐만 아니라 과학탐구에서도 매우 중요한 과정이며, 과학탐구는 논리적 사고력에 근거하여 내용을 전개하기 때문에 과학탐구보고서나 실험보고서는 과학논술 대안적 훈련 모형이 될 수 있다. 아래는 과학탐구 보고서 작성과정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보고서의 제목과 목적을 모아 놓은 것이다

.

학생글 1 제목: 키 큰 콩나물을 기르려면 물의 온도와 양은 어떠해야 하나/ 목적: 키가 큰 콩나물을 키우기 위해서 물의 온도와 물의 부피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 알아본다.

학생글 2 제목: 설탕을 먹으면 왜 단맛이 날까?/목적 : 설탕분자가 동그랗기 때문에 설탕은 단맛을 낼 것 같다.

학생글 3 제목: 컵에 뜨거운 물을 넣어도 컵 표면에 물방울이 맺힐까/ 목적: 컵에 차가운 물을 넣고 가만히 두면 컵 표면에 물방울이 생긴다. 그러면 과연 컵에 뜨거운 물을 넣어도 컵 표면에 물방울이 맺힐까? 만약 맺힌다면 온도가 높아야 잘 맺힐까 낮아야 잘 맺힐까?


학생글 4 제목: 맛있는 라면을 끓이기 위해 물의 온도가 미칠 수 있는 영향/ 목적: 보통 면이 쫄깃한 라면을 맛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면이 쫄깃한 라면을 끓이기 위해 물의 온도는 어떤 영향을 줄까?

위 학생글들의 탐구목적에는 공통적으로 탐구제목에서 지향하는 탐구동기가 제시돼 있고, 연구자의 의도가 충분히 포함되지 않았더라도 최소한 탐구동기를 나타내려 하고 있다. 학생글 1은 식물의 생장을 빠르게 하기 위해 물의 온도와 부피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알고 싶어 하고, 학생글 2는 설탕분자의 모양이 설탕의 단맛에 영향 줄 것이라는 잠정적 결론을 확인하고 싶어 하고, 학생글 3은 뜨거운 물을 컵에 넣어도 컵 표면에 물방울이 생길지 알고 싶어 하며 학생글 4는 맛있는 라면을 끓이기 위한 물의 온도를 알고 싶어 한다.

그런데 학생글 1의 경우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중요 요인인 물, 온도, 빛 중에서 왜 유독 물을 이용하여 탐구하려고 하고 있으며, 공기의 온도가 아닌 물 온도의 영향을 알아보려고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뿌려주는 물의 부피가 식물의 생장에 영향 미치는지를 왜 알아보려고 하는지 구체적인 동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학생글 2의 경우는 설탕분자의 모양이 동그랗기 때문에 단맛을 낼 것이라는 것에 대한 근거나 그런 생각을 갖게 된 과학적인 사례가 제시되지 않는다면, 단순한 호기심에서 출발한 탐구일 뿐 과연 탐구의 가치가 있는지 의심받을 수 밖에 없다. 학생글 3 역시 위와 같은 탐구목적을 세운 근거가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탐구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계할지 막연해지게 된다. 실제로 컵 속에 찬물을 넣어 컵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이유는 공기의 온도보다 물의 온도가 낮아 공기 중의 수중기가 컵 표면에서 액화(응결)하기 때문이다. 만약 뜨거운 물을 넣어도 컵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사례를 경험했다면 그 경험을 사실, 이론, 법칙에 근거하여 논리를 펼 수 있지만, 단순히 머릿 속 생각을 탐구주제로 정해서 진행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하다. 학생글 4의 경우는 라면의 맛을 쫄깃함으로 다시 정의하면서 맛있다는 정성적인 표현을 정량화하여 물의 온도에 따라 관찰해야 할 요소를 명확히 하고 있다. 학생글 4의 주제는 탐구목적에서 어떤 방향으로 탐구할 지 명확해졌기 때문에 앞으로 제시할 가설이나 탐구설계가 한 방향으로 명확히 제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렇게 탐구의 제목과 목적에는 앞으로 어떤 탐구를 할 지 방향이 제시돼야 한다. 만약 제목과 목적이 막연하거나 구체적인 사례나 사실, 이론, 법칙에 근거하지 않아 터무니 없거나 또는 과학적이라도 너무 넓은 범위로 주제를 정하여 자신의 능력을 벗어나게 된다면 탐구의 초점을 잃어버리게 되어 전체적인 탐구 내용이 엉망이 될 수 있다.

과학논술에서 논제 파악이 최우선 과제이듯 과학탐구보고서 작성에서도 연구의 개요작성 훈련이 가장 중요하다.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한 방향으로 탐구를 모아가는 과학탐구 보고서 작성 훈련은 과학논술의 좋은 서론 쓰기에 도움이 된다.

최원호/서울 중동고 화학교사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