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0.30 14:54 수정 : 2006.10.30 14:57

23개 학교 학생회의 참여로 29일 77돌 학생의날 맞이 ‘학생회 토론회‘가 열렸다.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77돌 학생의날 맞이 학생회 대토론회 열려…

77년 전 독립운동을 주도했던 성진회처럼, 열악한 학교현실을 바꾸기 위해 학생회가 나선다.

29일 21세기청소년공동체희망, 전교조 서울지부에서 77돌 학생의날을 맞아 ‘대한민국 청소년 현실과 학생회의 할일’이란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엔 23개 학교 70여명의 학생회 임원들이 참여해 4시간 동안 두발규제 등 인권침해, 입시위주의 교육, 성적차별 등의 현실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학생회가 앞장 설 것을 결의했다.

먼저 1부에선 각 학교에서 학생들이 받고 있는 부당한 대우에 대한 고발이 있었다.

이화여고 최은지(고1)양은 학생 징계시 학교게시판에 반, 번호, 이름, 징계사유를 다 적는 현실을 지적했다. 최양은 “만약 학생이 절도죄라면 학교게시판에 절도죄라는 징계사유와 신상명세를 다 적는다”며 “전교생이 벌을 받는 학생이 누군지 다 알게 돼, 해당 학생이 수치심을 느낀다”고 밝혔다.

월계고 신유진(고2)양은 대의원회의를 통해 정한 학생들의 의견을 무시하는 학교현실에 대해 지적했다. 신양은 “회의에서 용의복장 완화, 두발규제 완화를 결정해 학교에 전달했지만, 정작 학교에선 우리의 의견을 무시하고 안경 뿔테로 빨간 것 쓰지말라고 규제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성적차별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 대신고 광동규(고2)군은 “학교에서 2학년을 대상으로 논술교육을 실시해 지원했지만, 성적순으로 12명만 꼽아 수업을 들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신광여고 김은영(고2)양도 전교 40등 까지만 따로 모아, 특기적성교육을 진행한 학교현실을 지적했다.

이외에도 학교장이 학생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축제를 없앤 동대부고 사례, 교육청에서 장학지도를 오자 교장이 모범답안을 알려주며 이대로 말하라고 요구한 경인고 사례 등이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학생들은 불평만 하지 않았다. 2부를 통해 학생회가 대한민국 청소년이 처한 현실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 논의했다.

먼저 학생회 연합을 만들자는 주장이 있었다. 각자 학교에서 학생들의 의견을 대변해 학교에 전달하지만, 학교에 의해 무시당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은 공감대를 높였다.

대신고 이성진(고2)군은 “학교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찾고 개선하는 것은 학생회의 일”이라며 “학생회에서 학교현실에 속앓이를 하는 것보다 함께 모여서 어려움도 나누고 해결하는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군은 “일제시대 때도 성진회를 한생 조직이 있었기 때문에 독립운동이 가능했던 것”이라며 고등학교 학생회 조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신고 이선규(고2)군은 학생들에게 ‘열정’을 보여주자고 말했다. 현재 많은 학교 학생들이 학생회가 하는 일이 없다는 불신을 갖고 있다. 이런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학교를 바꾸는 열정을 학생들에게 보여주자고 말한 것이다. 이군은 “우리가 열정을 보여준다면, 학생들도 우리의 모습을 보고 감동을 받아서 나서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모아진 의견을 바탕으로 학생회 학생들은 ‘청소년 10대 요구‘를 작성하고, 학교 현실을 바꾸겠다는 100인선언을 진행한다.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이날 토론회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부당한 학교현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해결책을 모색해보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학생들은 77년전 민족의 독립을 위해 나섰던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이야기하며, 오늘날 현실에서 학생회가 무엇을 할 것인지를 되새겨보았다.

토론회에 참여한 중앙고 최가람(고1)군은 “학생회 활동을 하면서 각자 학교에서만 활동하면,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을 느꼈다”며 “이런 토론회가 자주 있어서 여러 학교 이야기들을 듣고 개선책을 모색해봤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토론회에 참가한 학생들은 학생의날 행사 때 학교에서 바뀌어야할 ‘청소년 10대 요구’를 발표하며, 학교현실을 바꾸겠다는 학생회 100인 선언을 진행한다.

정혜규 기자 66950@hanmail.net
ⓒ2006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