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추 아저씨 발명왕 되다
|
농자재발명 이해극씨 동화로 물질만능 사회에 빨간 고추맛
내가 읽은 한 권의 책 / 고추 아저씨 발명왕 되다 텔레비전의 어느 개그 프로그램이었다. ㄱ:우리 속담놀이하자. ㄴ:좋아. 내가 먼저 할게. 우물가서 숭늉 찾는다. ㄱ:(ㄴ을 마구 때리면서) 시간이 남아 도냐? 생수 마시면 되잖아! ㄴ:미안, 미안. 다른 거 할게.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 ㄱ:(ㄴ을 마구 때리면서) 쓸데없는 짓을 뭐하러 해? 비행기 타면 되잖아! ㄴ:미안, 미안. 티끌 모아 태산. ㄱ:(ㄴ을 또 때리면서) 쓸데없이 티끌을 왜 모아! 돈이나 모아! ㄴ:(징징 울면서) 잘못했어. 난 바본가 봐. ㄱ:맞아, 넌 바보야! 계속 이어지는 ㄴ의 속담에 ㄱ은 무자비하게 ㄴ을 구박하며, 전혀 다른 생각을 말한다. 시청자들은 웃음을 터뜨리며 고개를 끄덕인다. “그것 참, 말 되네. 맞아, 맞아!”하면서. 인기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은 이 속담놀이를 보고 있노라면 단순히 발상의 전환이라고 하기에는 섬뜩할 정도로 달라진 가치관의 변화를 느낄 수 있어 뒷맛이 영 개운하지 않다. 지금 우리들의 세상, 곧 작은 일, 눈에 띄지 않는 것, 땀 흘려야 하는 일, 사람 앞에 나서지 않는 것, 아무도 몰라주는 일, 한마디로 빛도 이름도 없이 살아가는 것에 대한 존경심은 커녕 이해도 관심도 없는 우리들의 가치관을 그대로 보여주는 게 아닌가 해서…. 아이들에게 작은 씨앗과 같은 소박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전하려는 ‘작은 씨앗’ 시리즈의 첫 번째 책으로 나온 <고추아저씨 발명왕 되다>(청어람)는 지금 충청도 제천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농부 이해극 아저씨의 이야기다. 농사가 즐거워 농부가 되었고, 농사를 덜 힘들게 짓고자 여러 가지 농자재를 발명한 그의 이야기를 재미있는 동화로 꾸몄다. 동화는 재미있지만 세상은 말 그대로 전쟁터다.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조류독감, 광우병, 이어지는 각종 천재지변으로 땅과 바다와 몸을 섞으며 사는 이들은 콘크리트와 디엠비(DMB)를 의지하며 사는 이들과는 전혀 다른 세상 사람들처럼 고통받고 있다. 그래도 무슨 희망의 계시를 받은 자들처럼 아침보다 일찍 일어나 논과 밭으로, 바다로, 가축들의 우리로 나선다. 농부, 이해극 아저씨처럼!
|
“뭣하러 아침마다 해가 뜨는 줄 아니?”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