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2.29 18:00 수정 : 2006.12.29 18:00

이영일 흥사단본부 일본문제특별위원

사회과목안에 편제되어 선택과목으로 배워오던 국사를 한국 역사로 독립시킨다는 교육부의 발표는 중학교의 국사 시간을 축소하고 고등학교의 국사과목을 사실상 선택 과목으로 바꾼 제7차 교육과정 실시 이후부터 줄곳 제기된 비판과 문제 제기를 이제서야 바로잡는 마땅한 조치이다.

중국과 일본이 우리의 역사를 모독하고 동아시아 역사를 자기네 시각으로 왜곡하고 있는 이 순간에도 정작 우리네 중고등학교에서는 역사를 모르는 교사가 역사를 가르치고 학생들은 선택과목인 역사를 사회과목의 일부로 배워왔다. 우리의 뿌리이자 한민족의 걸어온 길을 선택과목으로 가르치는 우리가 중국과 일본에게 역사를 왜곡하지 말라는 것 자체가 부끄럽고 한심한 일이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민족운동단체인 흥사단과 역사관련 시민단체들은 몇 년전부터 국사 과목을 “한국 역사”로 개칭하여 우리 고대사 정통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이를 사회과목에서 분리하여 필수과목인 한국 역사로 부활시켜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교육부는 2004년 8월, 난데없이 국정교과서를 폐지하고 민간 검인정 교과서 도입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등 생뚱맞은 반응만 보여왔다. 군사독재 시절부터 우리의 역사가 지배 집단의 질서와 기득권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다보니 “국사 교과서”는 정부가 통제하기 위해 국정교과서 한 종 뿐이었기에 민간의 다양한 역사적 시각을 담아내야 한다는 여러 목소리에 반응한 것이라고 생각하나 좀 더 시급한 문제인 교육 현장에서의 필수 과목화에 대해서는 별 조치가 없었기에 사실 이번 발표는 늦은 감이 없지 않다. 하지만 동아시아사를 신설하고 역사 교육 시간을 늘리는 것에 대해서는 교육부의 의지가 느껴지기에 환영스러운 조치라 생각한다.

교육부는 이왕 바로잡는 이번 조치에 한가지를 더 해 교육부 스스로 검토했던 민간 검인정 교과서 도입도 함께 추진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2004년 당시에는 국정교과서를 아예 폐지하고 민간 교과서로 대체한다고 하여 오히려 실현가능성 없는 방안이라 비판을 받았지만 정치적 이해관계를 배제한 순수 중립적 시각을 담보해내고 고대사와 근현대사 부분을 민족적이고 주체적으로 대폭 강화한 국정 교과서와 함께 민간 검인정 제도를 동시에 도입하는 것이 시대적인 역사 교육의 흐름이자 다양한 한국 역사의 질적 확대를 꾀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필자, 기자가 참여한 <필진네트워크>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겨레 필진네트워크 나의 글이 세상을 품는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