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2.02 14:05 수정 : 2007.02.02 14:05

민형이의 G고등학교 두발자율화 일지

시간이 흐를수록 의지는 약해지는 게 맞다.

우리의 노력도 부족하고 경험도 부족하고 모든 게 부족한 상황 속에서, 모든 것이 혼란스럽고 어렵기만 하다. 하지만 이미 추진하고 있는 것을 이대로 끝낼 수는 없었다. 어떤 몸부림을 쳐서라도 이뤄 내야한다.

우리는 먼저 학부모 대상의 설문지를 실시하기로 했다. 설문 자체의 문제점이 너무 많았다. 위조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점, 회수율이 낮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등, 과연 제대로 된 설문이 될까 의심스러웠다. 하지만 현재 학생들의 관심이 많이 없어진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관심을 끌기 위해선 어떤 계기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설문지라도 돌리면서 학생들에게 아직 안 죽었다는 모습을 보여주고 우리 생각을 전달 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았다.

우리의 당초 계획은 방학 중 삼자대면을 거쳐 학기 시작과 함께 개정된 두발 규정을 적용시키는 것이었다. 하지만 진행 상황이 미비하여 과연 제대로 일이 이루어질까 고심하다가 교감선생님을 찾아뵙게 되었다.

원래 방학 중 회의를 약속한 분은 교감선생님이셨다. 하지만 생활지도부에서는 회의 일자를 3월 초로 잡자고 주장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다. 어쨌든 확답을 듣기 위해 우리는 교감선생님께 찾아갔고, 마침 자리에는 생활지도부장선생님도 함께 계셨다.

처음에 약속하신 것과 다르게 교감선생님도 회의 일자를 3월 초로 잡으려는 눈치였다. 3월 초에 회의를 잡으려는 생각은 이렇다. 먼저 보충기간 중이기에 전교학생이 없는 관계로 전체 동의를 얻을 수 있는 여건이 아니다. 그리고 나오지 않는 선생님이 계서서 있는 선생님 중에 임의로 회의를 열기엔 좋지 않다. 3월이면 1학년이 들어온다. 그때 새로 오는 선생님도 있고 가시는 선생님도 있다. 이정도의 이유로 3월에 회의를 열자는 의견이었다.

솔직히 우리가 보기에도 지금이 그렇게 적합한 시기는 아니라고 판단했다. 위와 같은 이유도 있었고, 보충기간이 거의 끝났다는 사실도 회의를 열기에 좋지 않은 조건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우리가 우려하는 문제는 과연 3월 달이 되어 우리가 3학년이 되면 제대로 된 논의를 할 여건이 마련될까 하는 것이었다. 또 이렇게 미루고 미루다가 일이 흐지부지 해지는 것은 아닐까, 3학년 되면 본격적으로 3학년 체제에 돌입하게 되니까 아예 참여하기 힘들도록 원천봉쇄해버리는 건 아닐까.

개인적인 평가지만 그래도 우리 학교 교감선생님은 신의는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평소에 하시던 모습들이나, 대화하는 부분에서 상당히 인격적인 모습을 많이 느껴왔기에, 회의를 열기로 약속했다면 반드시 열어 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사람을 쉽게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말이다.

어쨌든 생활지도부장 선생님은 장황한 설명을 끝내시고 자리를 뜨셨고, 우리는 남아서 교감선생님과 조금 더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

먼저 교감선생님은 우리가 하려는 설문지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셨다. 역시나 설문지의 신뢰도와 회수율 문제들, 그리고 회의에 참여한 학부모 대표와 설문결과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 생길 문제점 등을 들었다. 하지만 위의 생각처럼 설문 자체의 효과보다는 공론화의 도구 중 하나로 여기고 있는 지금에서 설문을 추진하지 않을 수는 없다는 게 우리판단이었다.

회의 개최 시기에 대해서는 우리도 3월 초에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일단은 방학 중에 개최하는 것으로 조금 우겨보다가(?) 3월 초에 회의를 여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솔직히, 구두로 합의한 내용이라 많이 불안하긴 하지만, 그래도 한번 믿어봐야겠다.

이제 3월달로 모든 게 미뤄졌다. 씁슬하기도 하고, 더 잘해야 겠다는 생각도 든다. 이런 저런 감정이 미묘하게 교차한다. 이렇게 주어진 환경 속에서, 이제까지 해왔던 실수들과 문제점들을 잘 되돌아보고, 성공을 위해서 더 노력해야겠다. 또, 노력해야겠다는 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천으로 옮길 수 있도록 더 나를 다그치는 한달을 보내야겠다. 아직 끝난 게 아니다.

이민형 기자 mlimshs@naver.com
ⓒ2006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