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만의 참고서를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부산 부흥중 3학년 김승민군이 정리한 사회·과학 노트.
김승민군 제공
|
개념 설명 부족한 과목은 자습서로 보완
공부목적 명확히 한 뒤 참고서 활용해야
참고서 활용 어떻게 할까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조사한 결과를 보면 초·중·고교생의 한 학기 평균 학습참고서 구입 비용은 6만8000원에 이른다. 참고서 한권 평균 가격을 1만원으로 잡아도 6권 이상의 참고서를 사는 셈이다. 하지만 참고서 한권을 제대로 푸는 학생은 많지 않다. 참고서가 많으면 공부를 잘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참고서에만 너무 의지하면 학습능력이 떨어질 우려도 높다. 학교 수업을 열심히 따라가면서 교과서나 노트에 필기를 하는 건 기본이다. 수업 내용이 잘 이해되지 않거나 놓친 부분이 있다면 그때 참고서를 활용하는 게 좋은 방법이다.
우선 교과서에 자세한 개념 설명이 나와 있지 않다면 자습서를 보고 개념이나 용어를 익히면 된다. 국어는 해당 지문이 다 실려 있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습서가 도움이 될 때가 있다. 평촌 귀인중학교 박정숙 교사는 “요즘 국어 교과서는 작품 위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어서 이론적인 설명이 부족한 편”이라며 “학교 선생님의 개념 설명을 우선 들은 뒤 자습서를 활용해 스스로 내용을 정리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개념을 이해하는 것과 문제를 풀어보는 것은 다르기 때문에 개념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문제집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문제’라는 형식에 익숙하지 않으면 시험을 볼 때 출제 의도를 몰라 당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산 부흥중학교 3학년 김승민(15)군은 주로 수학과 영어 참고서를 사는 편이다. 새 학년에 올라가기 전 기본을 다지기 위해 가장 쉬운 참고서를 고른다. “방학 때 다음 학기에 배울 수학 기본 개념을 확실히 알기 위해 쉬운 책을 먼저 보고요. 학기 중에는 문제 수가 많고 심화 문제가 나와 있는 문제집을 골라서 풀어봐요. 수업에 들어가기 전에 개념이 잘 정리된 참고서로 예습을 하고, 수업이 끝나면 배운 단원의 문제를 풀어보면서 복습을 하는 거죠. 한권을 2번 정도 보고 틀린 문제는 표시해놓고 반복해서 풀어봅니다.” 김군은 영어는 교과서 위주로 공부를 하지만 ‘문법’은 따로 구입해서 공부한다. 중학교 문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참고서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내신을 위해서는 영어는 교과서만으로도 충분하지만, 문법이나 독해처럼 영역별로 부족한 부분은 별도의 참고서를 구입해 공부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사회나 과학 등의 암기과목은 ‘나만의 참고서’를 만든다. 교과서 내용 가운데 시험에 잘 나오거나 중요한 개념을 따로 노트에 정리하는 방식이다. 아직 중학교 1학년이라면 어려울 수 있지만 습관을 들이면 공부가 훨씬 편해진다는 걸 알 수 있다. 김군은 음악 과목까지도 노트를 만들어서 공부한다. “나폴레옹이 나오면 그 인물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두고요. 국제연합(유엔)이 나오면 그 기구의 역할에 대해 내용을 간단하게 적어놔요. 과학도 실험 과정을 그림으로 그려보면서 실험 결과나 중요한 공식 등을 써 놓으면 나중에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죠. 음악도 그날 배운 곡이나 작곡가에 대한 내용을 노트에 정리해 두면 시험 때 한꺼번에 하지 않아도 돼서 편하더라고요.”
|
‘나만의 참고서’가 최고의 교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