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1.03.21 09:03
수정 : 2011.03.21 09:03
|
이랑의 미래직업탐방
|
[함께하는 교육] 이랑의 미래직업탐방 /
공간정보공학자
예전에는 여행을 갈 때 지도를 보는 재미가 쏠쏠했다. 하지만 요즘은 차량용 내비게이션이 있어 목적지를 더 쉽게 찾아갈 수 있다. 불과 십여년 전만 해도 내비게이션이 이렇게 대중화되리라고는 상상하기 힘들었을 정도다. 이처럼 편리한 생활이 가능하게 된 것은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이 발전하면서부터다.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리공간 데이터를 분석하고 가공해 교통이나 통신 등에 활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쉽게 말해 종이지도 위에 있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했다고 볼 수 있다.
|
공간정보공학자 홍주석 연구원
|
㈜지에스엠솔루션 기술연구소 홍주석(사진) 연구원은 “대학 및 대학원에서 공간정보공학을 전공하고, 엠엠에스(MMS, 모바일매핑시스템) 및 고해상도 전방위카메라, 스리디(3D) 입체카메라 시스템 등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간정보공학 외에 공간정보 관련 업무의 기반이 되는 대학 전공으로는 지적학, 지구시스템과학, 지구정보공학, 지적토목학 등이 있다. 홍 연구원은 “공간정보공학을 전공하면서 공간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목적에 맞게 가공하고 적용하는 이론과 실습을 공부했다”며 “공간정보를 취득하는 부문에서는 일반측량, 지피에스(GPS), 사진측량학, 원격탐사 등을 배우고, 데이터의 가공 및 응용 부문에서는 공간정보프로그래밍, 웹프로그래밍, 지아이에스프로젝트, 지적학 등을 배우게 된다”고 전했다.
공간정보공학자는 주로 지아이에스와 관련된 업무를 하는 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 대한지적공사 등),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민간기업, 디지털지도를 제작하는 항측업체 등에서 활동한다. 지적직 공무원이 될 수도 있으며, 공간정보를 적용하는 분야가 확산되면서 진출 분야는 더욱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공간정보공학자는 각종 수치를 정확하게 다뤄야 하므로 꼼꼼한 성격과 인내심이 필요하다. 또한 보통 3~5명씩 팀을 이뤄 업무를 수행하므로 의사소통 능력과 원만한 대인관계가 요구된다.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도시정보시스템(UIS) 구축 사업에 예산을 늘리고 있고, 전자태그(RFID),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USN) 등 차세대 핵심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어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관련학과 공간정보학, 지적학, 지구시스템과학, 지구정보공학, 지적토목학 등
관련자격 지적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응용지질기사, 항로표지기사 등
업무수행능력 공간지각력, 기술설계, 전산, 문제해결, 범주화
지식 수학, 통신, 컴퓨터, 전자공학, 공학과 기술, 영어
성격 분석적 사고, 협조, 혁신, 리더십, 인내
흥미 진취형(Enterprising), 탐구형(Investigative)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