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험공부는 자신있는 단원부터 시작하고 지금부터는 그날 배운 것을 복습하는 게 좋다. <한겨레> 자료사진
|
이지은의 통통! 학습법
의무감에 기출문제 모두 풀 필요는 없어
자습시간엔 해당 과목 공부가 더 효과적
추석연휴가 시작되기 전 학생들은 다가오는 시험을 의식하며 ‘추석 때 밀린 복습 다 할 거예요’라고 다짐을 했다. 연휴가 끝나자 녀석들은 ‘그냥 놀면서 먹기만 했어요’라며 울상을 지었다. 연휴 후유증으로 주말까지 놀고 나니 이제 중간고사 기간이 다가오고 있다. 조여오는 시험부담,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 학생들이 자주 하는 질문을 중심으로 다섯가지 공부전략을 정리해 보았다.
전략1. 자신있는 단원부터 공부한다
시험공부를 할 때 학생들은 자신없는 과목을 뒤로 미루는 경향이 있다. 어떻게 손을 대야 할지 몰라 ‘주말에 해야지, 도서관 가서 해야지’ 하며 도망만 치는 것이다. 하지만 자신없는 과목이라고 해서 시험범위 전체를 다 모를 수는 없다.
시험공부를 할 때에는 순서에 맞지 않더라도 잘할 수 있는 단원, 빨리 끝낼 수 있는 단원부터 해치우는 게 좋다. 우선 공부를 시작하면 ‘이 과목은 조금 했다’라는 안도감이 생기고 그 자신감으로 다음 공부를 이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취약단원부터 공부하면 시간이 지체되고 학습의욕도 떨어져 잘할 수 있는 단원의 공부를 할 때에도 효율을 높이지 못한다.
전략2. 학교수업은 출제자 특강이다
2학기 중간고사는 9월 한달 공부한 것으로 시험을 본다. 하지만 개학 후 어수선함과 추석연휴로 인해 교과 진도는 부진한 상황이다. 남은 기간 동안 ‘폭풍진도’를 피할 수는 없다. 절묘하게도 시험 2주 전은 시험문제를 출제하고 검토하는 기간과 겹친다. 당연히 선생님들의 머릿속에는 시험범위와 시험문제, 앞으로 남은 수업들로 꽉 찰 수밖에 없다.
이제 남은 진도는 수업시간에 시험공부를 모두 마친다는 생각으로 집중해야 한다. 한두 과목은 학교에 문제집을 들고 다니며 자투리 시간을 이용해 시험공부를 마치는 것도 좋다. 매일 배운 만큼 문제를 풀면 복습효과도 낼 수 있고, 집에서 따로 공부해야 할 과목의 수가 줄어들어 부담이 덜하다. 시험공부는 그날 배운 것을 복습하는 것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 앞부분의 복습이 밀려 있더라도 오늘의 복습을 먼저 한 뒤 최근 배운 단원을 끝내도록 한다. 수업 기억이 남아 있는 순서대로 공부해야 학습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전략3. 인터넷강의로 공부를 대신할 수 없다
|
이지은의 통통! 학습법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