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자센터 내 여행학교에서 가진 도보여행 ‘마을프로젝트’ 전시를 촬영하고 있는 김민지씨.
|
비진학 청소년들이 말하는 삶
졸업식이 끝나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새 학기 맞을 준비를 하고 있다. 코트와 교복, 가방, 신발을 포함한 중고등학생의 등교 패션이 100만원을 육박한다는 얘기가 들리는 한편, 대학 새내기들은 학교생활 지침을 안내받고 선배들과 대면식을 한다. 다들 설레는 마음으로 새 학기를 기다리는 동안,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학생들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 2008년 83.8%에 이르렀던 전국 고등학생의 대학진학률이 해마다 조금씩 줄어 2011년에는 72.5%를 기록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대학’이라는 곳은 자신을 드러내는 중요한 간판이자 취업을 위한 최고 스펙이다. 중고등학생들이 대학이 인생의 전부라고 느낄 수밖에 없는 이유다. 그럼에도 대학이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 여기며 자신의 길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친구들이 있다.
또래집단 만날 기회 적어 아쉬워
청소년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라이프 코칭을 하고 있는 이어진(22)씨는 인문계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원래 심리학에 관심이 많아서 유학을 가려고 하다가 대학의 필요성을 못 느껴서 혼자 심리학 공부를 하고 있다. “책은 물론 여기저기 강의도 찾아다니며 듣고, 코칭센터에서 공부도 했다. 현재 한국코치협회에서 발행하는 심리 관련 자격증 심사를 받고 있다.” 이씨는 솔직히 처음 대학을 떠올렸을 때는 자율적이고 원하는 공부만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지만 교수님의 일방적 가르침에다 학점을 채우기 위해 불필요한 공부까지 선택해야 한다는 걸 깨닫고 접었다고 한다.
|
서울 용산의 한 카페에서 학생을 상담하고 있는 이어진씨.
|
|
서울대병원에서 간호조무사로 일하고 있는 강하나씨.
|
두려워 말고 자신의 목소리를 들어라 비진학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니 공통점이 있었다. 일단 주변의 시선을 의식하거나 누군가에게 끌려 다니기보다 적극적인 모습이었다. 막연히 꿈꾸고 생각만 하지 않고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행동했다. 또한 대학이 전부가 아니라고 생각하며, 필요한 지식과 정보가 있다면 여기저기 직접 찾아 나섰다. 김민지(21)씨는 지금 남미여행을 준비하면서 이와 관련한 출판프로젝트도 진행중이다. 김씨는 고2 때 자퇴하고 대안학교를 가서 18살 때부터 영상에 관심이 많아져서 무작정 카메라를 들고 거리로 나섰다. 주변에 인맥을 찾아 인문학도 배우고 연출과 촬영, 편집 기법까지 배워 모든 걸 혼자 다 한다. “원래 겁도 많고 두려움도 많아서 고2 때까지는 공부를 열심히 했다. 이번 시험이 끝나면, 수능만 끝나면 하면서 미래를 살았던 것 같다. 문득 그 미래가 언제까지나 끝없는 미래일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학교를 그만두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부모님과의 갈등도 있었지만, 기성세대에게 미래를 인질로 협박당하는 느낌이 들어 스스로 택한 길을 걷고 있다고 밝혔다. 김씨는 자신처럼 고민하고 있을 후배들에게 이 말을 꼭 전하고자 했다. “내가 본보기까지는 아니더라도 또 다른 길을 찾아 나설 사람들의 ‘샘플’이 됐으면 한다. 자기가 원하는 게 모험이든 안정이든 옳고 그른 건 없지만 자기 머릿속에서 ‘이건 아니야!’라고 외치는데도 나만 이런 것 같아서 무서워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자기 목소리를 애써 무시하고 참는 친구들이 있다면 꼭 말해주고 싶다. 혼자가 아니라, 꽤 많다고.”
|
구미시 청소년문화의집에서 주최한 청년멘토 워크숍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김준혁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