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6~8일 경기도 안양시 동안고등학교에서 ‘더불어 사는 평화교육’의 하나인 명상수업이 진행됐다. 1학년 1반 학생들은 저마다 자신에게 보내는 축복(격려)의 메시지를 적어 한곳에 모았다. 미래의 자신에게,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내가 미워하는 사람에게 긍정의 메시지를 보내는 활동을 명상수업 때 많이 하고 있다. 한겨레 휴센터 제공
|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행복한 학교 만들기
‘내 안의 나’ 성찰하면 마음가짐 바뀌어
‘평화교육’은 학교폭력 막는 장기적 대안
“… 닫힐 대로 닫혀 있던 제 마음을 선생님께서 열어주셨습니다. 선생님의 진행 멘트에 따라 천천히 명상을 해 나가면서 저는 제일 먼저 저 자신을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저는 저 자신의 좋지 않은 점들만을 바라보며 저를 굉장히 바닥인 애로 취급해 왔는데요, 제가 얼마나 아름답고 귀한 존재로서 이 세상에 오게 됐는지를 이 프로그램의 명상 시간들을 통해 깊이 깨닫게 되었습니다. … 선생님께서 저를 안아 주셨지요. 그때 저는 눈물이 금방이라도 터질 것 같았습니다. 터뜨리지는 않았지만 그 감동은 주체할 수 없었습니다. 그 진심 어린 포옹이 정말 감사합니다. 이 모든 시간을 저는 평생 잊지 못할 것입니다. 선생님~ 사랑합니다.^^”
ㄱ(고2)양이 명상수업을 마친 뒤 담당 강사에게 쓴 편지 가운데 일부분이다. ㄱ양은 지난해 1학기 내내 왕따를 당했었다. ‘매점 셔틀’(매점에서 빵·음료수 등을 사오라고 시키는 행위)은 기본이고, 욕을 먹고 맞기까지 했다. ㄱ양은 그 당시를 “그 누구도 용서할 수 없는 상황이었고 세상에 나 혼자 남겨져 있는 것 같아 외로웠다”고 떠올린다.
2학기 들어서 ‘왕따’ 문제는 해결됐다. 그러나 ㄱ양의 마음은 여전히 열리지 않았다. 친구들과 마음을 완전히 터놓고 지내기에는 상처가 너무 깊었기 때문이다. 그런 ㄱ양에게 2월 초에 학교에서 이뤄졌던 총 12시간의 명상수업은 마음을 추스르고 자신감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너희들은 소중한 사람이다.” “남들이 바라보는 모습만이 참모습은 아니다.” “너희들은 아름답고 천사 같은 존재다.” 조금은 낯간지러울 수도 있는 강사의 멘트였지만 힘든 일을 겪었던 ㄱ양에겐 마음에 와닿는 소중한 말이었다. ㄱ양은 “명상을 하며 버려야 할 것들을 하나씩 떠올린 뒤 내려놓다 보니까 눈물이 났다”며 “‘사랑한다’, ‘용서한다’란 말을 되뇌다 보니 나와 내 주변의 사람들이 잘되기를 바라게 됐다”고 밝혔다.
명상수업은 경기도교육청이 시행하는 ‘더불어 사는 평화교육-창의인성증진 프로젝트’(이하 평화교육) 프로그램이다. 명상이라고 해서 단순히 가부좌를 틀고 생각에 잠기는 수업이 아니다. ‘음악 듣기’, ‘롤링페이퍼’, ‘얼굴 그리기’, ‘편지 쓰기’ 등 자신을 성찰하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한다. 경기도교육청은 김상곤 교육감 주도 아래 지난해 9월15일 ‘경기평화교육헌장’ 선포식을 열고, ‘교육 3주체인 학생, 교사, 학부모가 모두 행복한 학교를 만들겠다’는 뜻을 밝혔다. 평화교육은 모든 형태의 폭력을 근절하고 서로 존중하고 협력하는 평화로운 교실과 학교를 만드는 걸 목적으로 한다. 지난해엔 5개 학교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했고 올해엔 12개 학교로 늘려 진행한다.
그런데 단순히 명상수업만으로 자존감이 높아질 수 있을까? 김수완(안양 동안고2)양은 “나를 좋아하지만 사랑하진 못했다”며 “명상수업을 받기 전엔 실수하는 자신을 용서하지 못하는 성격이었는데, 사랑받고 있다는 멘트가 위로가 됐다”고 말했다. 자존감이 높아져 실수하는 자신도 품을 수 있게 된 것이다.
|
지난 1월4~7일 진행된 경기도교육청 ‘더불어 사는 평화교육’ 교사직무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세이브(SEIV) 명상 지도실습을 소그룹으로 배우고 있다. 학교 현장으로 돌아가 학생들에게 명상을 전달하기 위한 작업이다. 한겨레 휴센터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