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북 단양초등학교 대곡분교 학생들과 원어민 교사가 방과후 교실에서 생활영어 수업을 하고 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
읽기·듣기 중심에서 벗어나 말하기·쓰기 능력 키운다
원어민 수준으로 발음 못해도 뜻만 통하면 돼
수능 대체 결정나면 2016년 입시부터 적용돼
*국영시 : 국가영어능력시험
“큰아이는 고등학교 1학년이라 국가영어능력시험(NEAT,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이하 국영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고 하더라고요. 그것보다는 둘째 아이가 지금 중학교 1학년이라 국영시가 대학교 들어가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될지 궁금해요. 그리고 어느 정도 수준으로 준비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지방에 있는 아이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걱정되기도 해요.” 경상북도 성주에서 고1, 중1 두 아이를 키우는 학부모 박덕희씨는 국영시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불안하다. 이름은 들어봤지만 자세한 내용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교사들도 비슷하다. 백지원 대전 중앙중학교 영어 교사는 “학부형들은 뭔가 다르게 해야 할 것 같은데 학교에서 지시하는 건 없어서 불안해하며 추이를 지켜보는 상황”이라며 “학부모들은 학원 수업을 들어야 하나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백 교사는 “고등학교에서 먼저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중학교 교사들은 체감하지 못한다”며 “지난해에 교육청에서 말하기·쓰기 수행평가를 강화하라고 지시가 내려와 선생님들은 어떤 식으로든 강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영시는 기존 영어 교육이 읽기와 듣기에 치우친 문제풀이 위주로 이뤄져 학생들이 의사소통능력을 키우는 데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교육과학기술부가 읽기·듣기·말하기·쓰기의 네 기능을 평가할 목적으로 도입한 시험이다. 올 하반기에 본시험이 시행될 예정이나 아직까지 세부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
학생·교사·학부모의 최대 관심사는 국영시가 수능 외국어 영역을 대체할지 여부다. 교과부는 지난해 5월 “학생들이 학교 교육만으로도 충분히 국가영어능력시험을 준비할 수 있는지를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겠다”며 “시험의 공신력 인정 정도와 의견수렴 결과를 종합해 2012년 하반기에 수능 대체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만일 국영시가 수능 외국어 영역을 대체하기로 결정된다면 현재 중3 학생이 대입 시험을 치르는 2016학년도 입시부터 적용된다.
기존 수능 외국어 영역과 국영시는 어떤 점이 다를까? 국영시는 인터넷 기반 시험(IBT, Internet-based Test)이다. 따라서 쓰기와 말하기를 직접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기존 수능 시험에선 읽기와 듣기 시험만 치렀기 때문에 쓰기와 말하기는 간접 평가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국영시에선 수험생이 직접 마이크에 대고 말한 내용이 녹음되고, 컴퓨터에 답안을 직접 쓰기 때문에 직접 평가가 가능하다. 읽기와 듣기도 인터넷 기반 시험의 특성을 활용해 위치 찾기, 도표 정보 찾기 등 클릭형 문항이 출제된다.
또 국영시는 1급(성인)과 2, 3급(고등학생)으로 나눠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학생이 진로를 고려해 필요와 수준에 따라 2, 3급 가운데 선택해 응시할 수 있다. 영어교육채널 이비에스이(EBSe)에서 국영시 말하기 영역을 강의하는 강원도 동해상업고등학교 김수진 교사는 “2급은 실용 영어 및 기초 학문 영역에서의 영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고 수능과 비슷한 난이도”이며 “3급은 일상생활 및 간단한 업무 상황에서 쓰이는 실용영어능력을 평가한다”고 밝혔다.
2013학년도 시험부터 수준별로 이원화해 시험이 치러지는 수능 외국어 영역과도 관계가 깊다. 교과부는 “국영시가 수능 외국어 영역을 무리 없이 대체할 수 있도록 국영시 2, 3급을 수능 B, A형과 연계했다”고 밝혔다.
이비에스이에서 듣기·읽기 영역을 강의하는 서울 경수중학교 이은정 교사는 “수능 A형은 국영시 3급 수준으로 일상생활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실용 영어 능력을 평가”하며 “수능 B형은 국영시 2급 수준으로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영어 능력을 평가한다”고 관계를 설명했다.
또 한 가지 눈여겨볼 내용은 국영시는 영역별로 A, B, C, F 등급을 준다는 점이다. 수능처럼 외국어 영역 전체 점수가 나오지 않고 읽기·듣기·말하기·쓰기 영역에 따로 등급이 매겨지기 때문에 대학은 특정 영역의 등급만 요구할 수도 있다.
|
영어교육채널 이비에스이는 국가영어능력시험 관련 강의를 지난해부터 진행하고 있다. 사진은 방송에서 소개한 2급 예시문항. 이비에스이 방송화면 갈무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