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2.04.09 13:59
수정 : 2012.04.09 13:59
|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현상 속에서 가치논제를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세차하는 모습에서 경제, 환경, 건강, 사회적 가치를 따지며 디베이트를 할 수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
황연성 교사의 디베이트 정복
학생 스스로 가치 판단에 따라 찬반 선택해야
상대가 내세우는 가치 포함해 주장하면 효과적
뚱뚱한 학생이 ‘돼지’라는 별명을 듣고 심하게 화를 내고 친구들과 말다툼을 했다. 아이들과 이러한 상황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기 위해 먼저 “별명을 부르면 친구관계에 도움이 된다”로 논제를 결정한 뒤 디베이트를 했다. 그 뒤에 아이들의 관계가 좋아졌다. 디베이트를 통해 친구에게 불쾌감을 주는 별명은 관계를 나쁘게 하지만 친근한 별명은 관계를 더욱 좋게 만든다는 전제 조건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가치논제는 ‘가치 판단 즉, 가치를 검증하는 논제’를 말한다. “만화는 우리 사회에 매우 유익하다”, “흥선대원군은 쇄국정책을 잘 펼쳤다”와 같이 옳고 그름이나 가치의 존재 여부를 묻는 형태이다. 가치논제는 토론자의 인격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교사가 임의로 입장을 정해주기보다는 학생 스스로 자신의 가치 판단에 따라 선택하도록 지도해야 바람직하다. 가치논제를 다룸으로써 토론자는 신념을 수정하거나 다지고 유지하며 발전시켜 민주시민으로 거듭나는 기회를 잡을 수 있다.
가치논제로 디베이트 학습을 진행하기 위해선 먼저 논제에서 다루는 용어의 개념과 범위를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만화의 개념에 만화 관련 산업도 포함되는지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 둘째로 가치관의 차이가 드러나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만화를 읽게 됨으로써 창의성이 향상(퇴화)되는지 또는 독서습관이 강화(약화)되는지에 대해서 근거를 찾아 주장을 펼쳐야 한다. 마지막으로 어떤 관점에서 볼 것인가 하는 판단 기준도 고려해야 한다. 학생 또는 사회인 전반을 중심으로 한 관점으로 다룰 것인지 판단 기준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가치논제로 디베이트를 할 때에도 역시 주장하는 내용을 뒷받침할 근거를 대서 증명해야 한다. 어떤 가치가 우리 사회와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것들을 보호할 수 있는지를 증명해야 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인권’처럼 아주 당연해 보이는 가치도 그것을 증명해 보이지 않으면 가치로서 인정받기 힘들다. 어느 쪽도 자신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가치가 인권이나 민주주의를 저버린다고 인정하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의 존엄성을 기반으로 한 인권이나 민주주의는 소중한 가치이기 때문에 그것을 저버린다고 인정하는 것은 자기 쪽에서 내세우는 가치가 소중함과는 거리가 멀다고 스스로 인정하는 꼴이 된다. 따라서 디베이트 수업에서는 상대가 주장하는 긍정적인 가치를 부정하기보다는 자신들이 주장하는 의견에 상대측의 가치가 들어맞을 수 있을 만한 조항을 포함시킬 수 있다면 좋다. 즉 우리가 주장하는 가치 안에 상대가 주장하는 가치가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뜻이다.
“동물원에 사는 원숭이가 야생 원숭이보다 더 행복하다”라는 논제로 디베이트 수업을 해보라고 권하고 싶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은 꼭 입론, 반론, 최종변론 등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동물원의 원숭이가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과 반대편 의견을 가진 아이들이 차례로 발표한다. 다음에는 상대가 발표한 의견을 들으면서 잘못되거나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에 대하여 서로 질문하고 답변하면서 디베이트를 즐기면 된다. 저학년 아이들에게는 형식보다는 서로 의견을 나누면서 지식이나 지혜를 넓히는 데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알려줘야 한다. 같은 논제로 디베이트 학습을 진행해도 학년이 높아질수록 의견이나 근거의 폭과 깊이가 확연히 달라지기 때문에 고등학생들이 논제로 삼아도 좋다.
“더러워진 자동차는 즉시 세차해야 한다”라는 논제도 이야기할 거리가 많다. 디베이트에서 이야기할 거리를 논점이라고 말하는데, 이 논제엔 경제, 환경, 건강, 사회와 관련된 논점이 있다. 세차를 자주 하면 비용이 많이 들고 차체가 빨리 닳고, 더러운 물이 많이 생겨나 오염이 심해지는 부정적인 면이 있다. 반대로 세차를 할 땐 내부도 청소하므로 인체가 건강해지고, 차가 청결해지므로 사회가 활기를 띠며 사람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주는 등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가치논제를 가지고 디베이트 수업을 할 때, 토론이 끝난 뒤 감상문을 쓰는 순서 전에 승리 여부를 떠나서 교사나 학부모들은 무엇이 자신이나 사회에 올바른 가치인지 확실하게 바로잡아주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것들을 디베이트의 가치논제로 정하여 활발하게 토론하면 세상이나 사물을 바라보는 자세가 변하고 행동이 바뀌는 경험을 하게 된다. 특히 가치논제로 디베이트 학습을 하면 학생들의 생각과 행동이 놀랍게 변해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소중한 가치는 마음을 움직인다”라는 말처럼 무엇이 귀중한 가치인가를 터득하면 학생들의 인성도 크게 변화하기 때문이다. 자신의 언어로 생각하고 다짐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디베이트 학습은 마법처럼 사람들의 마음을 아름답게 변화시킨다.
황연성 서울 예일초 교사·건국대 교육대학원 강사, 교육학 박사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