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서울 종로구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열린 ‘청소년 10대 요구 실현을 위한 기자회견’에서 청소년들이 “수행평가 30% 의무제 폐지하라”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후 서울시교육청의 ‘수행평가 30% 의무화’는 폐지됐지만 수행평가와 서술·논술형 평가를 합치면서 학생의 사고력이나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수업과 평가가 가능할지에 대한 의문이 나오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
‘과제형’ 줄었지만 부담은 여전해
서술형 포함, 수행평가 의미 퇴색
내신 중요해진 고교입시 영향도 커
경기도 고양시 ㅎ중학교에 다니는 1학년 최아무개양은 요즘 한 수학자의 생애를 정리하느라 바쁘다. 수학 수행평가로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인 디오판토스의 생애를 정리해 파워포인트로 만들고 발표도 해야 한다. 흥미로운 과제 같지만 학생 처지에서는 여간 부담스러운 일이 아니다. 정기고사가 끝난 지 얼마 안 돼 이런 과제들로 밤을 새우는 일이 많다.
지난 1학기 때는 영어 원서를 읽고 영어로 독후감을 8편 써서 내는 수행평가가 있었다. 학원에 안 다니는 최양한테는 점수 깎이기 좋은 과제다. 최양은 “친구들 가운데에는 영어를 잘하는 친구한테 부탁을 하거나 인터넷 자료를 찾아서 마무리를 하는 애들이 많다”고 했다.
서울 강남구 ㅅ여중에 다니는 3학년 김아무개양도 비슷한 상황이다. 지난 학기, 영어 수행평가 과제로 ‘원어민 교사와의 자유 스피치’가 주어졌다. 주제를 주면 3분 정도 자유발언을 한다.
“우리 학교는 많은 친구들이 외국에서 살다 왔거나 아니면 학원에 다닙니다. 혼자서 스피치 자료를 만들어도 어설퍼요. 부모님이 영어를 잘하실 경우, 도움을 받을 수도 있겠죠. 다 써놓고 검토라도 받으면 좋을 텐데 학원도 안 다니고 주변에 딱히 해줄 만한 사람이 없으니까 상대적으로 부족합니다. 30점 만점에 15점을 받았어요. 전체 점수로 보면 큰 감점이죠.”
수행평가란, 학생 스스로 자신의 지식이나 기능을 드러낼 수 있도록 특정 산출물을 만들거나 행동으로 나타내거나 답을 구성하도록 요구하는 평가 방식을 말한다. 서울 우신고 임영환 교사는 “수행평가가 정상적으로 이뤄지려면 수업 때 학생 중심형 참여 수업 환경이 마련돼야 하고, 그 과정에서 평가가 연동돼야 한다”며 “학생들이 추가 부담을 느껴선 안 된다”고 했다.
과제형 수행평가가 학생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사교육 시장이 개입할 여지가 높다는 우려 때문에 변화도 나온다. 많은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쪽지시험 등으로 수행평가를 대체하기도 한다. 정기고사와 다를 것 없는 이런 평가를 두고 굳이 ‘수행평가’라는 말을 붙여야 하냐는 비판도 있다.
|
수행평가 배점 예시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