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대성 교사의 북 내비게이션 6. 꿈을 현실로 - ⑤진로와 직업
<나는 무슨 일 하며 살아야 할까?> 하종강 외, 철수와영희<성적은 짧고 직업은 길다> 탁석산, 창비
<세상을 바꾸는 천 개의 직업> 박원순, 문학동네 경남 거창고 직업 선택의 십계 중에 ‘부모나 아내가 결사반대를 하는 곳이라면 틀림이 없다. 의심치 말고 가라’는 내용이 있다. 현실적인 관점에서 “어느 대학 어느 학과에 갈 것인가는 일단 성적이 나온 다음에 생각하면 돼. 성적이 좋을수록 선택의 폭이 넓으니까 성적을 올리는 것이 최우선이야”라고 조언하는 부모나 선생님의 생각을 의심 없이 받아들인다면 역설적으로 인생은 고난의 가시밭길이 되기 쉽다는 뜻이다. 전공 선택과 진로탐색을 수능 이후로 돌려버리는 우리의 현실은 너무 위험하고도 무책임하다. 여름휴가를 어디로 갈 것인지, 혹은 어디를 들러 어떻게 갈 것인지, 어디서 자고 무엇을 먹을 것인지 준비하는 과정은 즐겁고 행복하다. 서너 달 전부터 알아보기 시작해서 차근차근 정보를 얻고 다른 곳과 비교하며 휴가를 기다린다. 그런데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진로와 직업을 고민하는 데 우리가 들이는 노력과 시간은 얼마나 될까. 성적이 모든 것을 결정해 줄 것이라는 대단히 잘못된 믿음은 아직까지도 현실에서 강력하게 작동한다. 혁신의 아이콘 스티브 잡스는 철학과를 중퇴했지만 정보기술(IT)업계의 신화가 되었고 의대를 졸업한 안철수도 전공과 먼 길을 걷고 있으며 법학을 전공한 황병기는 가야금 연주와 작곡으로 일가를 이루었다. 사람들의 인생은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변한다. 그것은 자신이 잘할 수 있는 일과 하고 싶은 일 사이에서 길을 잃고 수능 성적으로 인생을 결정하기 때문은 아닌지 생각해 보자. 진로와 직업에 대한 패러다임을 바꾸지 않는다면 공부가 즐겁지 않을 것이고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도 흐릿하지 않을까 싶다. 더구나 나의 욕망이 아닌 타인의 욕망을 욕망한다면 가슴 두근거리는 행복과 거리가 점점 멀어진다. 돈을 많이 버는 일이 최고의 직업이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사실 진로와 직업은 큰 고민거리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직업이 곧 사람 자체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진로와 직업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고민과 선택이어야 한다. 사람은 자기가 하는 일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판단하고 살아간다. 일을 바라보는 관점과 태도에 따라 우리의 삶도 그만큼 달라지게 된다. 길담서원에서 ‘일’을 주제로 청소년인문학교실을 열고 그 강의내용을 엮어 낸 책 <나는 무슨 일하며 살아야 할까?>는 진로와 직업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답한다. 좀더 넓고 다양한 관점에서 자신의 미래를 고민하기 위해 다섯 명의 강사가 들려주는 ‘일’과 관련된 이야기를 들어보자. 특히 ‘일’하는 청소년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배경내의 ‘청소년 노동’에 관한 내용과 하종강의 강의는 매우 현실적이다. ‘알바’로 명명되는 노동은 대학생뿐만 아니라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사람들의 현실이다. 알바의 목적은 제각각이지만 자신의 의무만큼 권리도 정확하게 알아둘 필요가 있다. 인류의 역사와 경제 그리고 사회적 관점으로 인간의 노동을 살펴보고 내가 이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진로와 직업을 선택하기 위한 바탕이다. ‘일’에 대해 인문학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이 책은 성적으로 내 삶이 결정될 것이라는 현실에서 벗어나 세상을 바라보게 하며 진로와 직업에 대한 청소년들의 생각도 읽을 수 있다.
|
류대성 교사의 북 내비게이션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