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8년 2월 대구지방법원에서 배심원 추첨을 하는 모습. 김명진 <한겨레21> 기자 littleprincel@hani.co.kr
|
통합논술 원리와 실제
통합논술의 원리 창의력 요구하는 논제 비중 갈수록 줄어 일반적으로 해결방안 제시 유형의 논제는 주로 ‘창의성’을 중시한다. 그러나 조건부 해결책의 경우는 조건 제시문의 정확한 독해력이 일차 평가대상이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해법 제시에 응시자의 독창적 견해가 개입될 여지가 없을 때도 있다. 이 경우 이미 논제와 제시문에 해결 방안이 들어 있다는 뜻이므로 이를 찾아내 논리적으로 서술해야 한다. 즉 문제점이 포함된 제시문에서 해결의 대상(쟁점)을 구체화한 뒤, 조건 제시문에 전제되어 있는 근거를 찾아 해결방안과 논리적으로 연결해야 하는 것이다. 근거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연결하는 표현상의 논리적 연결고리일 뿐만 아니라, 방안의 타당성과 실현가능성을 측정하는 기준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근거가 주장과 잘 부합하고 객관성과 구체성을 갖춤으로써 해결방안의 설득력을 높여야 한다. 근거를 제시할 때는 논제가 그 종류나 출처를 제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근거의 출처(소재)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좋다. 조건부 대안 제시 유형에서는 대안뿐 아니라 근거의 범위도 정해져 있는 때가 많다. 독해 시 제시문에 드러나 있는 근거와 함께 그 근거를 토대로 추론 가능한(숨겨진) 근거까지 찾아 메모해가며 읽어야 한다. 대입 논술에서 논술의 본질적 기능을 살려서 출제한다면 창의력 평가를 중시해야 하지만, 근래에는 시험시간을 축소하고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창의력을 요구하는 논제의 비중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통합논술의 평가가 독해를 통한 이해와 분석 능력 중심으로 이동한 것이다. 이는 그동안의 논술시험에서 학생들의 창의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시도가 성과를 거두지 못한 데 대한 반응일 수 있다. 수능 중심의 주입식 교육과 성적 만능주의에 입각한 한 줄 세우기 식 경쟁 중심의 교육환경이 낳은 폐단이다. 그러나 이를 뒤집어 보면 창의성 있는 논술문의 희소가치가 얼마나 큰가를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논술 문제에서 창의성이란 주장과 근거의 독창성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조건부 해결방안 제시형 논제에서 해결방안이 아니라도 창의성을 요구하는 부분이 있으며, 창의성을 보여줄 방법도 있음을 의미한다.통합논술의 실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약점 극복 방안 ※ 다음을 읽고 문제를 풀어 보세요. - 2012 동국대 수시 (가) 다양한 가치관과 지식을 갖고 있는 보통의 시민들이 자유롭게 개진하는 독립적인 생각과 의견이 합리적이고 상식적인 방식으로 통합된다면, 이는 의미 있는 사회자본이라고 할 수 있다. 피터 러셀은 이를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이라고 불렀다. 프랑스의 미디어 학자 피에르 레비도 최근 그의 저술에서 특히 사이버 공간에서의 집단지성의 핑크빛 시나리오를 제시한 바 있다. 요즈음 우리 사회에서 집단지성의 중요한 매개체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이다. 언론의 여론조사도 실상은 시민의 집단지성을 통해 사회를 진단하고 미래를 예측한다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다. 힘 있는 소수에 의한 지식과 의견의 생산·유통의 독점을 견제하고 다수의 시민이 그 과정에 직접 개입할 수 있다는 것은 그 자체로서 충분히 매력적이다. 법원의 배심원 제도가 갖는 매력도 같은 것이다. 지식과 의견의 독점이 곧 권력의 독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집단지성의 가치가 분명히 크다. - 중앙일보, 2011년 9월24일자 (나) Social Networking Services(SN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formation of new forms of collective identity. For example, studies have found that SNS can help young people who are sexually and gender diverse to meet people and learn from each other, creating the sense of belonging to a broader community. This sense of belonging and acceptance can mean that young people who may be more vulnerable to isolation such as those with chronic illness or a disability, often remain members of an online community long after their initial impetus is gone. Content sharing plays a major role in cultivating belonging and a sense of collective identity. Sharing written, visual or audio content on SNS that represents or portrays an individual or community experience invites others to engage and relate. Such a mode of ‘sharing’ and ‘connection’ does not require real-time communication and can also mitigate feelings of social isolation. ·diverse: 다양한 · vulnerable: 당하기 쉬운 · chronic: 만성의 · impetus: 자극 · cultivate: 증진하다 · mitigate: 완화하다 (다) 자유롭고 평등한 개인에서 출발한 시민 사회는 그 전개 과정에서 서로 분리된 개인들이 자신의 이익에 근거해서 움직임에 따라 이기주의, 인간 소외, 계층 갈등 등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민 공동체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시민 공동체는 시민 사회의 장점을 살리는 동시에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더 나은 사회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주의는 개별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인정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사회 전체의 이익을 무시하는 방향으로 흐르게 되면 이기주의로 전락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집단주의는 개별 인간들의 인격적 존엄성을 무시하고 인간을 사회적·경제적 과정의 단순한 대상으로 파악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집단주의는 사회 전체의 이익을 구현하는 장점이 있으나, 사회 전체의 우월성을 강조함으로써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무시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시민 사회는 극단적인 개인주의나 집단주의를 경계하는 가운데 개인의 자유와 권리, 인격적 권리, 인격적 존엄성 등을 최대한 인정하면서도 사회 전체의 공익을 해치는 이기주의를 경계할 수 있도록 시민 공동체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시민윤리, 2003 [문제1] 제시문 (가)와 (나)에서 기술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여러 기능을 바탕으로, 제시문 (다)에서 말하는 극단적인 개인주의나 집단주의를 극복하고 시민 공동체를 형성해 나아갈 수 있는 방안을 서술하시오. (300~350자) [풀이] 논제는 제시문 (가)·(나)에 기술된 SNS의 긍정적 기능들을 바탕으로, (다)에서 제기한 집단주의나 개인주의의 문제점을 극복할 방안을 제시하라고 요구한다. 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에서 제기한 문제점(해결의 대상)을 구체적으로 확정한 뒤, SNS의 긍정적 기능들을 활용한 시민 공동체의 형성을 해결방안으로 제시해야 한다. 1. (가)의 요지 · SNS는 집단지성의 유용하고 중요한 매개체다. · SNS에 의한 집단지성의 가치는 ‘힘 있는 소수의 독점을 견제하고 개인들의 참여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 집단지성은 합리적 방식으로 통합된 독립적인 개인들의 의견이 전문가의 판단보다 올바를 수 있다는 개념 2. (나)의 요지 · SNS를 통한 정보공유는 집단적 정체성과 소속감을 증진시킨다. · 젊은이들이 사회적 단절감을 완화시켜 고립에서 탈피하게 해준다. 3. (다)의 요지 1) 개인주의: 개별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인정(장점), 사회 전체의 이익을 무시하는 이기주의로 전락 가능(단점) 2) 집단주의: 사회 전체의 이익을 구현(장점),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해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무시(단점) 4. 해결방안 SNS를 통해 극단적인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단점을 극복함으로써 시민 공동체 형성 ※ 단점(문제점) 극복 과정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야 함
통합논술의 예제 흡연보다 핵발전소를 위험시하는 까닭은?
|
담배 1.4개비를 피워 암이나 심장병으로 죽을 확률은 핵발전소 32km 부근에서 150년간 살다 방사선 암으로 죽을 확률과 같다. 그러나 사람들은 전자보다 후자를 훨씬 더 위험하게 생각한다. 사진은 한 건물의 중간층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는 사람들. 탁기형 선임기자 khtak@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