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육협의회 대학입학정보 홈페이지(univ.kcue.or.kr)에 접속하면 전형요소별 반영방법 등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진학지도 교사로 구성된 '대입상담교사단'으로부터 무료 진학ㆍ진로 상담을 제공받을 수 있다. ◆심층면접ㆍ논술 준비 철저히 = 수시모집에서는 심층면접으로 당락이 뒤바뀌기도 한다. 자신이 지원하는 대학의 학과는 학생부 성적이 비슷한 학생들도 지원할 가능성이 많고 대부분 대학이 1단계에서 3~5배수를 선발한 뒤 2단계 심층면접과 논술ㆍ구술고사로 최종 합격 여부를 결정하는 만큼 준비를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학과에 대한 지원 동기나 학과의 학문적 성격 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미리 정리해두는 것은 기본이다. TV 토론 프로그램이나 신문 등을 통해 시사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일부 대학의 토론식 면접은 수험생 우열을 쉽게 드러내기 때문에 사전에 충분히 연습해 두는 것이 좋다. 영어 지문을 주고 그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하는 경우가 많아 일정 수준의 영어 독해력은 기본이며 인문계는 사회, 자연계는 수학ㆍ과학 교과에 관련된 영어 지문이나 단어를 숙지해야 한다. ◆자기소개서ㆍ학업계획서는 스스로 작성해야 = 자기소개서와 학업계획서는 본인 스스로 작성해야 한다. 다른 사람이 작성해줄 경우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해 면접 때 낭패를 볼 수 있고 남의 것을 흉내내거나 남들이 쓰는 상투적인 표현 등은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렵다. 자기소개서는 자신의 특성을 알리는 글이며 학업계획서는 전공분야를 선택하게 된 동기나 학업계획, 졸업 후 희망진로 등의 내용을 담으면 된다. 형식이나 내용에 너무 얽매이지 말고 좀 투박하더라도 생각을 솔직히 쓰고 관련된 질문에 소신껏 답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좋다. ◆일단 합격하면 다른 대학 못 가 = 수시 2학기를 모집하는 대학 중 시험일정이 다른 여러 곳에 복수지원이 가능하지만 추가합격을 포함해 1개 대학이라도 합격하면 등록 여부와 상관없이 정시ㆍ추가 모집에 지원할 수 없다. 물론 수시1학기 모집에 합격한 수험생도 수시2학기 또는 정시ㆍ추가모집에 지원할 수 없다. 여러 대학에 붙어도 1곳에만 등록해야 하고 수시에 합격한 뒤 등록을 포기하더라도 정시ㆍ추가모집으로 다른 대학에 들어갈 수 없다. 복수지원과 이중등록 금지 원칙은 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이며 특히 산업대학은 2006학년도부터 복수지원과 이중등록 금지원칙이 첫 적용됐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단 경찰대학, KAIST 등 특별법에 의해 설치된 대학 등은 이같은 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대입전형이 모두 끝난 뒤 전산자료를 검색해 위반 사실이 확인되면 모든 대학의 합격이 취소된다. 또한 수시 2학기 모집은 같은 대학이라도 전형유형별로 전형시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 수험생들은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모집요강을 세심히 살펴봐야 한다. 수능성적을 최저학력 기준으로 주로 요구하는 고교장ㆍ교사 추천 전형 등은 수능 시험일 이후에 면접ㆍ구술 등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지만 특기자 전형 등 다른 전형은 9월이나 10월에도 면접ㆍ구술시험을 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인터넷으로만 원서를 받는 대학이 74곳으로 늘어났기 때문에 전자접수가 제대로 처리 됐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