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랑의 꿈 찾는 직업이야기
|
[이랑의 꿈 찾는 직업이야기]
공정무역 전문가
상품 파악부터 유통까지 참여
어학실력, 인권감수성 필요해
자유무역은 아무런 규제나 장벽 없이 교역하는 걸 말한다. 그러나 자유무역이 모든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는 건 아니다. 한 예로 저개발국 농민들은 커피, 코코아, 설탕 등을 헐값에 수출하기 때문에 항상 가난에 시달린다. 반면 개발국의 소비자들은 값싼 원료로 생산한 제품을 비싸게 사먹고, 중간 유통업체들은 막대한 이득을 챙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공정무역이다. 공정무역은 저개발국의 제품 생산자들이 제값을 받고 일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나 혼자 잘 사는 게 아니라 나를 둘러싼 세계의 여러 구성원들이 더불어 잘살자는 취지를 담고 있다.
공정무역 전문가는 저개발국의 생산자와 그들이 생산한 제품을 구입하는 소비자 사이에서 교역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이들의 업무는 실제 생산지에 가서 생산자를 만나고 교역을 시작하는 일부터 식품의 수입과 제조, 판매, 유통까지 다양하다.
아름다운가게 공정무역사업처 생산자파트너십팀 한수정 팀장은 “주요 거래 품목인 커피와 초콜릿에 대해 원재료를 생산하는 생산자와 협력하고 이를 수입해서 판매하고 영업하는 일, 그리고 공정무역을 홍보하고 교육하는 일을 주로 한다”고 설명했다.
|
‘세계 공정무역의 날’을 기념해 서울 중구 명동에서 아이쿱생협 회원들이 공정무역 참여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공정무역은 저개발국 생산자에게 정당한 가격을 지불함으로써 생산자의 사회경제적 자립을 보장해주는 대안무역이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