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9일 슬기초 학부모회 어머니들과 책사랑 어머니회에서 직접 만든 ‘빅북’을 들고 있는 학생들. 슬기초 제공
|
전체 의견 모아 학년별로
특색사업 진행…‘이모 문화’ 강조
학부모 재능기부도 활발
자연스레 교육의 선순환 일어
“ㄱ고는 혁신학교인데 아이들의 목표가 대학이 아니라, 자신의 꿈을 펼치며 인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잠재력을 중요시한다고 해요. 이 점이 참 맘에 드네요.”
“ㄴ고는 특성화고로 기숙사도 있고 취업도 잘되지만 내신 커트라인이 꽤 높네요. 학교가 아무리 좋아도 아이들이 그 전공과 맞는지, 수업을 잘 따라가는지가 중요하죠.”
지난 22일 경기도 시흥의 연성중 세미나실. 15명의 학부모가 모여 앉았다. 3학년 학부모 협의회에서 아이들 진로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다. 각 반 대표와 부대표들이 조를 나눠서 일반고, 특성화고, 혁신학교, 자사고, 특목고, 예·체능고에 대해 사전 조사를 한 내용을 돌아가면서 발표했다. 고교입시를 앞둔 3학년 학부모들이라 그런지 시종일관 진지하고 열띤 분위기였다.
학교운영위원회가 단순 심의기구라면, 학부모회는 전체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고 학교 정책을 모니터링해서 내용을 전달하는 실제적인 기구다. 예전에는 학부모회 하면 ‘치맛바람’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았다. 이 때문에 학생들도 꺼리고 학교 쪽에서도 부담스러워했다. 하지만 요즘 학부모회는 확연히 달라졌다. 회비도 없고, 실속 있는 자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학부모에게는 평생학습 공간이자 교류의 장이 되고, 아이나 교사에게는 학습보조교사 겸 멘토의 구실을 한다. 그야말로 건강한 치맛바람이 불고 있다.
연성중 학부모회에서 준비한 자료에는 주로 서울·경기, 인천권 학교 위주로 위치, 특색사업, 동아리활동, 내신 커트라인, 기숙사 정보가 꼼꼼하게 정리돼 있었다. 학부모들은 입시설명회에서 홍보자료를 받아오거나 교사와 전화 상담을 하거나 학교 홈페이지를 분석했다. 직접 학교를 방문하거나 교육청에까지 전화해 조사하는 등 다들 열성적이었다.
이들의 목적은 단순히 좋은 고등학교에 보내는 것이 아니었다. 아이가 뭘 좋아하는지 관심을 존중하면서 다양한 길을 제시해주기 위해 모였다. 단순히 입시 정보를 나눌 뿐만 아니라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는 자성도 나왔다.
“이전에는 몰랐는데, 좋은 학교들이 많다. 근데 엄마들이 혹하면 뭐하나, 애들이 안 따라주는데…(웃음)”, “사실 4년제 대학이 다가 아니라고 하지만, 고등학교도 대부분 성적에 의해서 간다. 내 꿈을 찾아서 특성화고나 전문계고에 가는 아이들은 거의 없다.” “오히려 꿈이 없는 게 문제다. 아이들이 꿈을 찾는데 부모가 병행해주는 게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교육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여기저기서 비슷한 고민들이 나오면서 공감대가 이루어지고 그 과정에서 대안도 제시됐다. 1학년 때부터 학교에서 만드는 진로탐색 워크북을 활용해 좀더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게 하자는 것이다. 또 대학을 가는 방법은 다양하니까 무조건 인문계만 고집하기보다 자신의 수준과 관심사에 맞는 학교를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는 이야기도 오갔다.
2시간이 넘게 이어진 토론 끝에 각 팀에서 만들어온 자료 중 핵심 내용만 뽑아서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줄 파워포인트 자료를 만들기로 했다. 또 다양한 고등학교 자료를 열람해 아이들이 관심 있는 학교를 찾아보도록 할 계획이다. 학교 진로수업이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모니터링도 하고 실제 입시 상담 경험이나 정보가 많은 진로진학 담당 교사와 같이 논의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연성중학교 학부모회는 모든 사업을 직접 계획하고 운영한다. 각 반에서 모임을 갖고 나온 얘기를 대표들끼리 취합해서 반영하는 식이다. 1학년은 봉사교육팀, 2학년은 독서교육팀, 3학년은 진로교육팀으로 특화시켰다. 1학년은 가족봉사단을 꾸려 지역사회와 연계해 도서관이나 양로원에 봉사를 간다. 2학년은 어머니 독서동아리 ‘북적북적’을 만들어 매주 토론하며 책 선정을 해서 아이들과 독서캠프를 간다. 3학년은 학부모들의 인력풀을 총동원해 다양한 분야의 직업인을 섭외해 특강을 하고 학부모 교육기부를 통해 체험활동도 실시한다.
임경희 학부모회장은 “학교 문턱이 없어졌다. 교사들 인식도 바뀌었다. 내 아이만을 위한 건 치맛바람이지만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 일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이모 문화’를 강조했다. 임씨는 “식당 가면 일하는 아주머니한테 친근감 있게 ‘이모’라고 한다. 우리는 모든 아이의 이모가 돼보자는 마음이다. 학부모들 스스로 아이들을 이끌어주고 정보도 제공해주자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
지난 22일 경기도 시흥의 연성중 세미나실에서 3학년 학부모협의회가 열렸다. 이날 모인 각 반 대표와 부대표, 학부모회 임원들이 아이들의 진로교육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최화진 기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