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2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인근 메릴랜드주 게일로드 내셔널 리조트 앤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3 스크립스 내셔널 스펠링 비’에 한국 대표로 참가한 리시(맨 오른쪽)가 예선 3라운드에서 ‘phenology’(계절학) 철자를 알아맞히는 순간이다. 윤선생 제공
|
영어 어휘력 경연대회 현장
한국 학생들은 철자를눈으로 보기만 하면서 공부한다
그래선 단어를 들어도 모른다
소리와 철자의 관계를 알면
좀더 효율적이다 “Can I have the definition?”(정의를 알 수 있을까요?) 무대에 선 학생이 출제자에게 물었다. 2000여 객석이 3분의 2 이상 찼지만 대회장 안은 쥐죽은 듯 고요했다. “A branch of science dealing with the relations between climate and periodic biological phenomena.”(생물학적 현상과 기후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과학의 한 분과) 자크 베일리 박사(미국 버몬트대 고전학 교수)가 긴 문장을 단숨에 읽자 한 학생이 침착하게 발음했다. “p(피), h(에이치), e(이), n(엔), o(오), l(엘), o(오), g(지), y(와이), 페널러지!” 지난 5월2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인근 메릴랜드주 게일로드 내셔널 리조트 앤 컨벤션센터. ‘2013 스크립스 내셔널 스펠링비’(Scripps National Spelling Bee, 이하 SNSB) 예선 3라운드 현장에서 리시(13·부산국제외국인학교 중학 2학년)가 ‘phenology’(계절학)의 철자를 맞히는 순간이었다. 인도계 미국인 리시가 목에 건 이름표에는 ‘SEOUL. SOUTH KOREA’라고 적혀 있었다. 관중석에선 리시처럼 빨간색 티셔츠를 입은 한국 학생 다섯이 환호했다. 아쉽게도 리시는 준결승까지 진출하지 못했지만 한국 대표인 자신을 응원하러 온 한국 친구들과 끝까지 대회를 즐겼다. 스펠링비는 단어 발음을 듣고, 철자를 한 글자씩 또박또박 맞히는 철자 맞히기 대회다. 올해 86회째 열린 SNSB에서는 미국 전역과 세계 10여 나라에서 진행한 대표 선발전을 통해 뽑힌 281명이 세계 우승 트로피를 놓고 경쟁했다. 대회의 의미 가운데 하나는 ‘인종과 성별 등에 구애 안 받고, 언어로 친목을 다진다’는 점이다. 리시가 한국 대표로 나간 건 예선이 열리는 국가에 거주하면 국적과 관계없이 그 나라 대표가 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리시는 “미국에 살던 초등학교 5학년 때 학교 대표로 지역대회에 나갔었다. 2011년 엔지니어인 아버지를 따라 울산에 왔는데 한국에서도 대회를 나갈 수 있게 돼 감사하다”고 했다.
|
왼쪽 뒤부터 시계 방향으로 한국 예선 입상자이면서 스크립스 내셔널 스펠링비 참관단으로 참여한 김도엽, 장우혁, 박재영, 이성준군, 오승원양, 올해 우승자 아르빈드 마한칼리, 올해 한국 대표 리시.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