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 성-성기표현, 한자는 근엄하고 우리말은 음란하다고요?
|
어린이 성 이렇게 말해보세요
지난번 <한겨레>에 쓴 칼럼을 보고 자녀 성교육을 고민하던 한 아빠가 질문을 해 왔다. “저는 공식적인 성교육을 14살, 중학교 시절에 받았는데요, 그때 남자의 성기를 일컬어 배웠던 이름이 ‘음경’이었습니다. 그러나 어려서 울면서 집에 들어오면 할머니께서 ‘울면 자지 떨어진다’고 하시던 것과는 얘기가 달라 좀 의아했죠. 성교육에서 순수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고 ‘음경’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고, 또 자녀 성교육을 하면서 어떤 용어를 써야 옳은 것인지 고민이 됩니다.” 몇 년 전 어린이 성교육을 연구하던 사람들 사이에서 우리 몸, 특히 생식기 관련 용어를 순수한 우리말로 써야 한다는 주장이 논란이 된 일이 있다. 이유는 아이들이 자신의 몸을 당당하게 보살피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었는데, 한자로 되어 있는 음경(陰莖), 음순(陰脣)이라는 용어는 그늘진 것, 감추어야 할 것이라는 금기의 뉘앙스를 담고 있으므로 가능하면 이런 용어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어느 한 성교육자는 유치원에서 성교육을 하면서 용감하게 이를 실천했던가 보다. 아니나 다를까 곧장 학부모들로부터 “음란하고 저속한 성교육”이라는 항의가 빗발쳤다. 순수 우리말로 성기를 일컫는 ‘보지’, ‘자지’라는 말이 부분적이지 않고 전체를 표현하는 적절한 용어이기는 하나 여전히 한자 표현은 근엄하고 진지하게, 한글 표현은 저질스럽게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예를 들어 젖꼭지(유두), 밥통(위), 콩팥(신장), 똥(대변), 오줌(소변) 등은 어떤가.
|
이명화/ 아하! 청소년성문화센터 센터장 bright@ymca.or.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