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1일 서울 길동복조리시장에 위치한 ‘총각네 고깃집’ 사장 탁재식씨가 ‘책읽는 가게’ 서비스로 신청한 책을 강동도서관 방윤경 문헌정보실장에게 건네받고 있다.
|
이색 독서 프로그램
서울시 강동구 길1동 길동복조리시장에 위치한 은혜지압원. 출입문에 붙은 스티커가 눈에 띈다. ‘꿈과 희망을 찾는 책 읽는 가게’. 언뜻 생각하기에 손님이 기다리면서 읽을 수 있게 책을 갖추고 있다는 의미로 들린다. 내부에 들어서자 따로 마련된 책은 보이지 않았다. 대신 아이가 그림책을 읽고 있었다. 지난 11일. 강동도서관 사서 구본경씨는 지압원을 방문해 아이 엄마인 김선화씨에게 책 10권을 건넸다. <위층 할머니, 아래층 할머니> <아기 구름 울보> 등 김씨가 미리 대여신청을 한 책들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강동도서관에서 전통시장 상인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사서가 상인이나 그 자녀들이 읽고 싶은 책을 가게로 직접 배달해주는 ‘책 읽는 가게’(이하 책가게) 서비스로 길동시장 상인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독서가 사고의 폭을 넓히고 삶을 풍요롭게 한다는 건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일에 치이다 보면 책 한권 여유롭게 읽는 것도 여의치 않다. 독서의 양극화도 갈수록 심해진다. 책을 읽는 사람들은 이런저런 책을 접하며 더 많이 읽고 싶어하는 반면, 책을 안 읽는 사람들은 점점 더 책과 멀어지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도서관에서 직접 주민들에게 책을 배달해주거나 낭독하며 책을 읽는 등의 이색 독서 프로그램이 생겨나고 있다. 책을 쉽고 가깝게 접하며, 재밌게 읽기 위한 목적이다. 강동도서관 사서 14명은 각자 3~4개의 가게를 맡아 꾸준히 관리하고 있다. 연령대별 추천도서부터 신간, 자녀들의 학습정보나 ‘나들가게’ 같은 전통시장 관련 학습 정보 등도 정리해 매달 상인들에게 나눠준다. 구씨는 “처음에는 자주 찾아가다 갈수록 방문이 뜸해지면 상인들이 책을 다시 잘 안 빌리더라. 수시로 가게를 들여다보고 관심있는 분야를 묻고 관련 책을 추천해준다”고 말했다. 시장은 도서관 입구에서 열 걸음이다. 그만큼 가까운 거리지만 장사하느라 바쁜 상인들에게 도서관은 그냥 ‘일부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공기관’일 뿐이다. 사서들은 시작 당시 가게 한곳 한곳 일일이 방문해 독서 프로젝트를 홍보하고 권유했다. 이후 책가게가 점점 늘었지만 “장사하는 데 방해되니 나가라”고 문전박대하는 상인도 있었다. 그럼에도 사서들이 적극적으로 발품을 판 덕에 100여개 가게 중 현재 39곳이 협약을 맺었다. 도서관 일반 이용자는 한번에 다섯권까지 2주 동안 책을 빌릴 수 있지만 책가게 상인은 서른권을 한달까지 빌릴 수 있다. 책가게만의 ‘특별 혜택’이다. 김선화씨도 “아이 아빠가 책을 더 많이 빌릴 수 있다고 해서 신청했다”며 “8살, 6살 아이들은 그림책이나 동화책, 나는 역사책, 남편은 추리소설이나 한국 소설을 빌린다. 한번에 다양한 책을 빌릴 수 있어 좋다”고 했다. 장사에 바쁜 시장 상인들에게책 직접 전달하는 서울 강동도서관
한번에 30권 한달간 이용 가능
지역 특성 고려한 서비스로 호응 커
서울교육청서는 ‘책, 새롭게 읽기’ 등
낭독하며 책 읽는 프로그램도 열어
내용 살려 책 읽자 감성도 풍부해져
|
강동도서관이 협약을 맺은 ‘책읽는 가게’ 출입구 유리창 등에 부착해주는 스티커. 강동도서관 제공
|
|
지난 11일 서울 길동복조리시장에 위치한 은혜지압원을 운영하는 김선화씨가 딸 지윤양과 책을 읽고 있다. ‘책읽는 가게’ 회원인 김씨는 이날 강동도서관 사서 구본경씨에게 대여 신청한 책 10권을 받았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