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5.06.24 20:02
수정 : 2015.06.24 21:15
작년 학폭위 심의 전년보다 10%↑
피해학생도 증가…초등생 폭력 급증
|
학교 폭력. 김영훈 기자
|
전국 초·중·고교에서 지난해 학교폭력이 한 해 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 정부가 국정과제로 ‘학교폭력 제로 환경 조성’을 내걸고 학교폭력 가해 사실의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기재를 강제하는 등 대책을 펴왔으나, 그다지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정진후 정의당 의원이 교육부의 학교알리미 공시자료를 분석해보니, 지난해 전국 초·중·고교의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학폭위)가 심의한 학교폭력은 1만9521건으로, 2013년 1만7749건에서 10%(1772건) 늘었다. 피해 학생도 2만6073명으로 한 해 전보다 369명(1.4%) 늘었다. 가해 학생은 376명(1.3%) 줄었으나, 학생 수 감소세를 고려해 학생 1000명당 가해 학생 수를 따져보면 1.8% 증가했다. 학교폭력은 2012년 2만4709건에서 2013년 1만7749건으로 줄었으나, 1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2011년 중학생 자살 사건이 발생한 대구지역이 1000명당 5.57건으로 전국 시·도 가운데 학교폭력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
초·중·고 학교폭력
|
정서 변화가 격심한 ‘중2’ 시기를 거치는 중학교에서 학교폭력이 학생 1000명당 6.59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하지만 초등학교에서 1000명당 1.02건으로 2013년보다 33.4%나 급증해 우려를 낳는다.
오프라인 따돌림은 줄었으나(-13.6%), 온라인 왕따 같은 사이버 폭력(22.2%)은 크게 늘었다. 명예훼손·모욕(29.7%) 등 정서적 폭력이나 상해(33.8%), 폭행(9.5%) 같은 신체적 폭력 모두 증가했다. 정진후 의원은 “학생부 기재를 포함해 관련 대책을 두루 재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수범 기자
kjlsb@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