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다옥 교사의 사춘기 성장통 보듬기
우리 아이가 공부머리는 썩 좋진 않지만 노력을 많이 해서 성적이 높은 것, 공부머리는 괜찮은데 노력을 안 해서 성적이 낮은 것. 이 둘 가운데 하나를 고른다면 어떤 쪽을 선택하겠는가? 자녀가 어릴 때 ‘우리 아이가 영재인 거 아냐?’ 하면서 기대에 찬 마음으로 아이의 나날을 지켜본 경험들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이가 커갈수록 “우리 아이는 머리는 좋은데 노력을 안 해서…”라며 걱정하는 소리가 더 많아진다. 머리가 나쁠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우리를 두려움에 떨게 하는 것 같다. 그만큼 우리는 머리가 좋다는 것에 대한 굉장한 선망이 있는 것 같다. 현재 좀 떨어지더라도 언제든 마음만 잡으면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믿고 싶어한다. 그래서 아이의 공부습관이나 다른 여건들을 탓하면서 아이를 좀더 노력하도록 채근하고 공부 자원들을 막무가내로 투하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예전에 1학년 2학기의 끝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상담실에 온 아이가 있었다. 대부분의 수업시간에 잠을 잤고, 또래관계도 편하지가 않았다. “다른 사람들은 나를 바보라고 생각해요.” 그 이유에 대해서 물어봤을 때 “맨날 자고, 성적이 그따위니까요”라고 했다.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못생기고 멍청하고 한심하죠. 제 단점은 ‘몰라요’라고 말하는 거랑 힘이 없다는 거. 허리가 축 처지고, 생각도 힘이 없고, 뭐든지 다 힘이 없어요”라고 표현했다. 어린 시절부터 부모의 돌봄 부족으로 정서적인 허약함, 기초학습의 결손, 또래관계에서 자기 자리를 찾지 못하고 겉돌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아이가 본격적인 부적응을 보인 계기는 따로 있었다. “초등 6학년 때 검사를 했는데, 지능이 7~8살짜리로 나왔어요. 충격받았고, 울고…. 정말 짜증났어요. 이렇게 컸는데, 7~8살이라고, 장애인도 아니고. 엄마, 아빠도 저보고 술 먹고 화내면서 포기한다고 하고.” 실제로 그 아이의 지적 능력이 어떤 수준인지는 모른다. 그렇지만 동물을 사랑하고, 그림·만화 그리는 것을 좋아하고, 요리하는 것에 관심이 있고 곧잘 하는 아이를 ‘바보’라고 여기게 할 수는 없었다. 2학년 말에 아이는 다시 병원을 다녀왔고, 지능검사 결과가 보통으로 나왔다. 지난 시간들이 말끔하게 회복될 수는 없었지만 고등학교 생활까지 많이 안정된 상태에서 하는 걸 볼 수 있었다. 자녀가 평범하게 생활하고 적응하고 있다면 지능검사를 굳이 할 필요가 있을까 싶다. 물론 지능이 아주 높거나 낮을 것 같을 경우 전문기관에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두 경우 다 특수교육으로 잠재력을 길러주거나 결손을 미리 발견하여 대처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치료적 효과를 보기보다는 충격을 받아 문제가 되는 경우가 심심치 않게 있다. 검사 결과를 ‘능력’ 자체로 받아들여 삶에 큰 그늘로 남기 쉽다. 지능지수가 높게 나오는 경우라도 부모의 지나친 기대가 과도한 학습으로 이어져 아이의 잠재력을 시들게 할 수도 있다. 다른 심리검사들도 마찬가지지만, 지능검사는 특히 실시의 과정과 해석의 과정 모두에서 세심한 관찰과 주의가 필요하다.
|
윤다옥 한성여중 상담교사·사교육걱정없는세상 노워리 상담넷 소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