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6.02.29 20:33
수정 : 2016.02.29 20:33
교육청의 ‘일반고 살리기’ 방안
교과중점학교는 일반고 안에서도 일부 학생들만을 위해 진행하는 사업이다. 이밖에 전교생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늘고 있다. 특히 교육청 차원의 ‘일반고 살리기 프로젝트’가 활발한 추세다.
경기도교육청은 얼마 전 일반고 직업교육 확대 방안으로 ‘꿈의 직업학교’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방과후 직업학교, 특성화고 부설 직업학교 15곳과 함께 제3의 직업학교 10개교를 설립하는 내용이다. 이 학교는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일반고 학생에게 직업 교육과정의 참여 기회를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만들었다. 교육청 쪽은 “지역별 직업교육의 기회 불균형을 없애는 한편 미래 사회에 적합한 창업형 직업교육 시스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책연구와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고 공청회 등을 거쳐 8월에 확정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전북교육청은 기존의 공모사업을 폐지하는 대신 ‘학교 자율선택과제’ 사업을 추진하고 나섰다. 초·중·고 모두 대상으로 하며 총 24억원을 지원한다. 일반고뿐만 아니라 특성화고도 지원 대상이며 따로 지원을 받는 혁신학교, 어울림학교(농어촌 소규모학교), 원도심학교는 제외다. 세부 과제는 의무사항이 아니라 자유 선택사항으로 학교가 직접 고를 수 있다. 독서 글쓰기와 참학력 신장, 교과체험활동, 놀이 활동, 인성교육 등 8개 주제이며 이 가운데 1~2가지를 정해 1년간 진행한다. 현재 140여개 고등학교에서 선택프로그램을 정했다.
최화진 <함께하는 교육> 기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