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형이나 산업, 생활 등 지역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체계적으로 적어 놓은 책을 지리서라고 한다. 우리는 지난날의 지리서를 통해 당시 사회와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역사책의 한 부분으로 ‘지리지’가 들어가곤 했다. 예컨대 중국 역사책인 <한서> 중의 ‘지리지’에 들어 있는 고조선의 8조법을 통해, 우리는 고조선 사회가 운영되는 원리의 일부를 짐작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지리지는 고려 때 김부식이 펴낸 <삼국사기> ‘지리지’이다. 조선시대 편찬된 <고려사>에도 ‘지리지’가 들어 있다. 그러나 이들 지리지는 단순히 어떤 지방의 위치와 명칭, 행정체계상의 지위 변화 등 연혁을 소개하는 데 머물렀다. 조선의 국가체계가 정비되면서 국가나 지역의 통치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지리서 편찬이 본격화됐다. 8도의 지리 정보가 조사돼 <세종실록> ‘지리지’에 실렸으며, <동국여지승람>과 이를 보완한 <신증동국여지승람>이 잇달아 편찬됐다. 지리서의 내용도 지리적 위치나 연혁뿐 아니라, 점차 인간의 활동을 지역적 관점에서 다루는 인문지리서의 성격을 띠었다. 관청을 비롯한 각종 기관, 주요 산물, 출신 인물, 풍속 등 각종 지역 정보가 포함됐다. 각 지역의 자연환경이 인간의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심도 크게 높아졌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민간의 지리지 편찬도 활발하게 전개됐다. 각 지방의 양반들이 개인적으로 읍지를 펴냈다.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서양을 소개한 것으로 잘 알려진 이수광의 <지봉유설>도 일종의 지리지였다. 실학자인 정약용, 이중환, 신경준 등도 지리지를 펴냈다.
지리지의 내용이 인문지리의 성격을 띰에 따라, 한반도 지형에 대한 인식도 사람의 생활을 중심으로 재구성됐다. 신경준이 쓴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 <산경표>나 이 시기 가장 대표적인 지리지로 꼽히고 있는 이중환의 <택리지>에 나오는 산맥의 체계가 국토연구원이 조사한 산맥체계와 비슷한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한반도 산맥체계를 둘러싼 논란 중 어느 편의 주장이 맞는지는 전문가의 논의를 거쳐 결정될 일이겠지만, 지형을 보는 지리적 관점의 차이는 흥미로운 일이다. 한국교원대 교수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