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아이 비리유치원 못 보내” 동탄 학부모 21일 집회
- 경기 화성시 동탄 지역 사립유치원 학부모들이 아이를 더는 비리유치원에 보낼 수 없다며 단체행동에 나섰다.
이 지역 사립유치원 학부모들로 구성된 '동탄 유치원사태 비상대책위원회(비대...
- 2018-10-19 08:30
 
- 
								
																		 
- 사립유치원이 “현금 내라”는데…모든 경비는 ‘계좌이체’가 원칙
- “닭 3마리를 넣고 우린 국물로 200명이 넘는 아이들이 닭곰탕을 먹었다.” “유치원 급식납품업자인데 (비리 유치원 공개 뒤) 납품량이 확 늘었다.” 
  ‘비리 유치원’ 실명 공개의 파장이 거...
- 2018-10-17 05:01
 
- 
								
																		 
- 한국유치원총연합회 “깊이 반성, 심려끼쳐 죄송”
- 사립유치원 모임인 한국유치원총연합회비상대책위원회가 15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유를 막론하고 저희를 믿고 아이들을 맡겨주시는 학부모님들께 큰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밝혔다. ...
- 2018-10-16 16:53
 
- 
								
																		 
- ‘2차 가해’ 개념, 모르면 외우세요
- 스쿨미투를 비롯해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 사건 등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개념이 ‘2차 가해’다. 2차 가해란 성범죄 등 피해자에게 그 피해 사실을 근거로, ‘피해자의 행실이 불량해서 범죄 ...
- 2018-10-16 09:44
 
- 
								
																		 
- “가해 교사는 교사가 아니다” 학교를 고발한 학생들
- 서울, 경기, 인천, 대구, 부산, 충청, 전라, 경남…. 전국 어느 한 곳도 예외가 아니다. ‘스쿨미투’(#SchoolMetoo, 교내 성폭력을 고발한다) 이야기다. 지난 4월 서울 노원구에 위치한 용화여...
- 2018-10-16 09:28
 
- 
								
																		 
- 전문대 입학으로 ‘취업의 문’ 두드려볼까?
- 요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상급학교로 진학하려는 학생들에게 최고의 관심사는 취업을 잘 할 수 있는지 여부다. 4년제 일반대학 졸업이라는 스펙이 취업에 크게 유리하지도 않다. 기업도 현...
- 2018-10-15 20:49
 
- 
								
																		 
- ‘미디어 리터러시’의 렌즈로 뉴스 보기
- 뉴스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즐겨 다루는 대표적인 장르입니다. 해외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사례들을 보면 뉴스를 직접 제작하는 활동부터 신문 기사의 사진을 분석해보는 수업까지 ...
- 2018-10-15 20:49
 
- 
								
																		 
- 교실 속 절반의 아이들이 ‘민사린’이 되지 않는 날
- 추석을 앞둔 9월의 한 수업시간. “추석하면 떠오르는 것을 말해볼까요?”라는 교사의 질문을 듣자마자 여기저기 아이들의 미소가 피어올랐다. “실컷 놀아요!”, “용돈 받아요!”, “친척들 만나...
- 2018-10-15 20:49
 
- 
								
																		 
- 유치원 추첨 ‘처음학교로’ 올해도 반쪽짜리 되나
- 맞벌이를 하며 6살 아이를 키우는 정아무개(서울 성동구)씨는 지난해 11월 유치원 추첨에 참여하려고 양가 부모님께 도움을 요청한 뒤 하루 연차를 냈다. 집 근처 사립유치원 5곳에 지원을 ...
- 2018-10-10 18:28
 
- 
								
																		 
- 갑분싸, 고답이…세종대왕님도 ‘별다줄’ 하셨을 걸요
- ‘갑분싸’(갑자기 분위기 싸해짐), ‘핵아싸’(정도가 심한 아웃사이더), ‘마상’(마음의 상처), ‘고답이’(고구마 먹은 듯 답답하게 구는 사람)…. 요즘 청소년들이 쓰는 줄임말이다. ‘별다줄’(별...
- 2018-10-09 09:56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