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종빈 서울고검장(왼쪽) · 이정수 대검차장(오른쪽)
|
[6판] 차기 검찰총장 인선의 윤곽이 17일 열릴 청와대 인사추천위원회 회의 뒤 공개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누가 ‘낙점’될지 검찰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6일 청와대와 법무부 관계자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총장 후보군은 현재 3명으로 압축돼 있다고 한다. 1순위에는 사시 15회인 김종빈(58·사진왼쪽) 서울고검장이, 2순위에는 사시 동기생인 이정수(55·사진) 대검차장이 각각 올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결정적 흠이 새로 발견되지 않는 한, 김 고검장이 차기 총장에 가장 가까이 가 있는 셈이다. 이런 구도는 집권 중반기를 맞아 ‘안정적 관리자’를 선호하는 노무현 대통령의 최근 인사 경향에, ‘빅4(국정원장·검찰총장·경찰청장·국세청장) 지역안배론’이 결합한 산물로 보인다. 청와대 인사수석실의 검토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던 이달 초까지만 해도 충청(충남 서산) 출신인 이 대검차장이 앞서 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승규 법무장관이 호남(전남 순천) 출신이라, 동향(전남 여수)인 김 고검장을 발탁하기는 여러 모로 부담스러울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청와대와 열린우리당내 호남출신 인사들을 중심으로 ‘호남 홀대론’이 강하게 부각되면서 김 고검장 쪽으로 무게중심이 기울었다고 한다. 김 고검장 유력설이 전해지면서, 검찰 안팎에선 “차기 총장이 임명되면 후속 검사장 인사까지 마친 뒤 김 장관이 경질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흘러나오고 있다. 논란의 여지가 있는 ‘호남 법무-호남 총장’ 구도를 노 대통령이 그대로 두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열린우리당 쪽의 한 인사는 “김 고검장을 밀고 있는 인사들 사이에선, 정무직인 장관보다 임기(2년)가 보장되고 개별 사건 수사를 지휘하는 검찰총장이 훨씬 더 중요한 자리라는 인식이 강하다”고 전했다. 김 고검장이 차기 총장에 지명된다면, 참여정부 중반기 ‘빅4’는 △국정원장-강원도 △검찰총장-호남 △경찰청장-대구·경북 △국세청장-부산·경남 구도가 된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