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와 아파트 등 부동산이 작년 고위공직자들의 최고 재테크 수단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종전의 경우 2000년은 `주식투자', 2001년 `저축', 2002년 `부동산', 2003년에는 `부동산 거래와 저축' 등이 공직자들의 중요한 재테크 수단이었다. 24일 공개된 행정부 고위공직자 재산변동 내용에 따르면 재산공개 대상 공직자중 재산증가액 10위권 이내에선 7명이, 20위권 이내에선 모두 12명이 토지나 아파트매도금과 공시지가.기준시가의 차익에 따라 재산이 늘어났다고 신고했다. 이같은 신고 내용으로 볼 때 작년 최고의 재테크 수단은 뭐니 뭐니해도 땅 등부동산이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재산증가 2위를 기록한 김세호 건설교통부 차관은 부인 소유 토지 수용 보상액과 공시지가의 차익 등으로 11억1천331만2천원, 한국전력공사 한준호 사장은 같은내용의 부동산 거래로 9억50만7천원의 재산이 늘어 재산증가 3위를 기록했다.
김 차관은 공시지가로 6억3천만원을 하는 부인 소유의 토지 수용 보상액으로 18억2천만원을 받아 재산이 크게 증가했고, 한 사장은 본인 소유의 임야가 수용됨에따라 10억원 이상의 차익이 발생했다고 신고했다. 또 재산증가 10위권안에는 유광석 외교통상부 주 싱가포르 대사(5위)가 7억4천830만6천원, 박봉수 기술신용보증기금 이사장(6위)이 6억158만원, 문정일 국방부해군참모총장(7위)은 5억7천491만5천원, 신현택 여성부 차관(9위)이 4억8천992만1천원의재산을 늘렸는데 모두 토지와 아파트 거래 등의 부동산 거래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국무위원 중에는 이헌재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유일하게부동산 거래를 통해 재산증가액 1위를 차지하면서 전체 공개대상자 가운데 10위를기록했다. 이 부총리의 경우 부인 명의의 토지를 팔아 공시지가와 실제매각가의 차이로 10억원(계약금 1억8천160만원 예금에 사전 반영) 이상의 차액이 발생했지만 실제 변동금액은 생활비와 대출금 상환 등으로 4억7천268만1천원이 증가했다고 신고했다. 이어 봉급을 저축해 재산을 증식했다고 신고한 공직자도 박종식 수산업협동중앙회 회장 등 9명(중복)이나 됐다. 박 회장은 사업소득을 포함 7억7천668만3천원으로 재산증가 4위를 기록했고 이어 박세진 법제처 차장(8위), 이봉주 농업협동조합 감사(12위), 김근 한국방송광고공사 사장(14위), 방영민 금융감독원 감사(15위), 양천식 금융감독위 부위원장(19위), 박상길 대검중앙수사부장(20위) 등도 봉급 저축으로 재산을 늘렸다고 신고했다. 이 농협 감사는 재산증가액 4억여원중 배우자가 교통사고로 중상을 당해 합의금과 보험보상금 명목으로 받은 게 2억원 가까이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검중수부장은 이번에 재산이 2억7천731만6천원이 늘어나는데 그쳤으나 법무부 기획관리실장으로 재직하던 작년 재산신고 때는 장인인 김성수 오양수산 회장이 물려준 예금 32억5천800만원 등을 합쳐 36억1천200만원이 증가, 재산증가 1위를기록했었다. 이와 함께 주식으로 재산을 불린 사례는 재산증가 1위를 차지한 인천지검 홍석조 검사장이 유일했으나 개인별 증가금액으로만 보면 81억1천513만8천원으로 가장많았다. 홍석현 주미대사의 동생인 홍 지검장은 자신이 보유한 비상장 주식인 (주) 휘닉스 디스플레이전자의 보유주식 28만5천주가 작년 6월 코스닥에 등록되면서 그동안액면가 5천원으로 평가되오던 것이 작년말 종가인 4만2천500원의 시가로 평가로 돼 주당 3만7천500원의 차액이 발생하게 된 것이 재산증가의 주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재산감소 상위 20위권내에서는 생활비로 재산이 감소했다고 신고한 공직자가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 등 9명으로 가장 많았다. 또 토지와 아파트 등 부동산 매입에 따른 실매입가와 공시지가와 기준시가의 차이로 인해 신고액이 감소했다는 공직자도 7명이나 됐다. 재산감소액 1위인 정휘영 감사원 감사위원은 모친 대출금 상속과 친지 대여금,생활비(18억381만원) 등으로 인해 8억5천775만8천원이 줄었고 이어 김인세 부산대총장은 본인 명의의 상가건물과 장남 명의의 연립주택 매입으로 발생한 실거래가와매입가의 차이로 6억3천743만2천원이 줄어 감소자 2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정 위원은 모친으로부터 공시지가 신고대상인 대지와 전답을 물려받았고김 총장도 상가건물과 연립주택을 매입했기 때문에 시가로 재산을 평가하면 감소액은 이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부동산 매입에 따른 신고 금액 감소한 공직자들의 경우 대부분 실재재산총액과는 다소 거리가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