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적성시험에 국사문항 늘려야 3.1절을 앞두고 주한 일본대사의 독도 망언으로 여론이 들끓고 있는 가운데 사법시험과 행정.외무고시. 입법고시 등 국가고시에 잇따라 국사시험 과목이 사라지고 있어 역사교육 정책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국가고시 1차에서 개별 시험과목으로 국사는 지난 97년 사법시험을 시작으로 올해 입법고시와 법원행정고시에 이어 내년에는 행정.외무고시에서도 사라진다. 행정.외무고시에서 국사시험은 개별 과목시험으로는 지난 25일 마지막으로 출제됐다. 이에 따라 예비 공직자들에 대해 최소한의 한국사 기본지식조차 검증하지 않는다면 일본과 독도영유권 분쟁이나 중국과 동북공정 논쟁에서 이길 수 있는 정책을 만들어낼 수 있겠느냐며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행정.외무고시 등 국가고시를 관장하는 중앙인사위원회는 27일 이와 관련, "개별시험 과목으로 국사과목은 폐지되지만 국사 지식을 토대로 한 역사이해력 평가는 오히려 강화된다"며 "시험과목 폐지가 역사교육에 장애가 된다는 주장은 기우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 국사시험 폐지 앞서 보완책 마련해야
교육계에서는 작년부터 수능시험에서조차 사회탐구 선택과목의 하나로 전락한 국사가 중견 공무원을 충원하는 국가고시에서 사라지면 교육현장에서 국사교육의 비중이 더욱더 낮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올해 대학 신입생의 경우 고1까지 공통이수과목으로 지정된 국사를 주당 2시간씩 배웠지만 앞으로 대학에서 국사를 교양과목으로 선택하지 않으면 고1까지 받은 국사교육이 사실상 정규교육으로는 마지막이 된다. 이런 현실이 국사교육의 소외로 이어지면 두고두고 교육정책 당국과 국가고시를 주관하는 정부 당국자들에게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우리역사바로세우기시민연대 우대석 사무국장은 "역사의식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때에 국사과목이 개별 시험과목으로 있다가 없어지게 돼 우려가 앞선다"면서 "국사과목 폐지에 앞서 새로운 적성시험에 국사 문항을 늘려 출제하는 등 보완책이 반드시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단순 암기식 평가,역사이해에 도움 안돼 하지만 기존의 국사시험이 중.고등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국가고시에서도 단순 암기를 위주로 축적된 지식을 평가하는 수준에 머물러 역사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는데 결코 도움을 주지 못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이런 현실이 국사를 개별 과목으로 더 이상 치르지 않게 된 결과를 가져왔다는 주장이다. 고시 합격자들도 국사시험이 역사 이해와 무관하게 탈락자를 만들어내기 위해 출제한 지엽말단적인 문제들이 출제된 사례가 많아 과거 1차 과목중 가장 문제가 많은 과목이라고 지적해왔다. 종전 국사시험은 시대순으로 역사적인 사건을 외우거나 사회.정치등 각종 제도와 문학작품에 대한 관련 지식을 묻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김명식 중앙인사위 기획관리관은 "작년부터 공직적성시험(PSAT)의 언어논리영역에 이해력 측정에 중점을 둔 국사문제를 출제하고 있다"면서 "내년부터 국사과목이 폐지되면 적성시험에 기존의 비중만큼 충분히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국사시험을 개별과목으로 치르느냐 않느냐는 결코 중요하지 않다"면서 "일본도 국가고시인 1종시험에서 일본사라는 과목을 두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한편 2004년 언어논리영역(40문항)에서 경국대전의 상속규정 설명에 대한 오류를 찾는 문제와 삼국사기에 드러난 역사의식과 편찬배경 등을 묻는 문제 등 2문항이 출제됐고 올해는 이이의 10만 양병설 기원에 대한 글을 소개하고 필자의 논거를 묻는 1문항이 각각 객관식으로 출제됐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