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28 11:53 수정 : 2005.02.28 11:53

2004~2005학년도 수능부정 `성적무효' 363명 강의영 기자= 교육인적자원부는 2004학년도 수능시험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한 부정행위로 대학에 입학한 36명에 대해 `성적 무효'를 결정하고 이를대학에 통보해 `입학 취소' 등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했다고 28일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해 수능부정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2003년 11월 치러진 2004학년도수능시험의 부정행위자로 39명이 적발돼 검찰로부터 통보를 받았으나 이 가운데 2명이 군복무중이고 1명은 추가 조사가 진행중이어서 우선 36명의 시험을 무효처리했다고 설명했다.

이들 3명은 본인 소명이나 추가 조사가 끝날 때까지 결정이 유보됐다.

교육부에 따르면 수능성적이 무효처리된 36명은 모두 지난해 광주.전남지역 소재 대학 또는 전문대에 입학, 대부분 1학년을 마친 상태이지만 입학 당시 성적이 무효화됨에 따라 입학 취소가 불가피하다는 것. 대부분 대학이 학칙이나 모집요강에 부정행위로 입학한 사실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입학을 취소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교육부는 2005학년도 수능시험에서 부정행위로 성적이 무효 처리된 응시자는 검찰이 최근 18명을 추가 통보함에 따라 28일 현재 모두 327명으로 늘었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지난해 수능부정 파문에 따른 경찰과 검찰 수사 등으로 2004~2005학년도수능시험에서 부정행위가 적발돼 시험 자체가 무효 처리된 수험생은 363명에 달하게됐다.

지역별로는 광주가 212명으로 가장 많고 전북 83명, 서울 19명, 전남 17명, 충북 11명, 충남 10명, 부산.인천.대전.경기.경남 각 2명, 울산 1명이다.

박융수 교육부 학사지원과장은 "부정행위를 통해 무사히 대학에 들어가 일부 교육과정을 이수하더라도 나중에 입학 당시 부정행위가 드러나면 입학 자체가 취소돼대학에 다닌 것도 무효가 된다"고 강조했다.(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