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01 15:54 수정 : 2005.03.01 15:54

`외교부 후속 정책' 주문..`정부 先보상 추진' 요구도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단체 전국연합 기자회견 내용 등 추가>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노무현 대통령이 1일 3.1절 기념사를 통해 한.일 양국의 과거사 문제와 관련, 일본 정부의 배상을 언급한 데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은 일제히 적극적인 지지와 환영의 뜻을 밝혔다.

양순임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회장은 "노 대통령이 한일 관계가 올바른 바탕위에 세워질 수 있도록 지금까지 방치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를 언급한 데 대해 적극적으로 지지한다"고 반겼다.

양 회장은 "앞으로 일본 정부는 노 대통령 언급대로 잘못된 것을 바로잡을 수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며 일본 국민 역시 과거의 만행이 되풀이되지 않도록자국 정부에 이를 촉구하면서 힘을 모아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양 회장은 다만 "을사조약을 기점으로 보면 국권을 상실한 지 올해가 100년인데그토록 오랜 시간 동안 일본의 만행을 해결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정부의 자성이있어야 했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사무총장도 "노 대통령의 강한 과거사 해결의지가 느껴지는 기념사였다"고 평가하고 적극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 사무총장은 "지난 13년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주한 일본대사관앞에서 일본 정부의 사과와 배상을 촉구하면서 우리정부의 침묵에 대해 아쉬워했다"면서 "노 대통령이 기념사에서 독일 등의 예를 들어가며 적극적으로 얘기한 데 대해할머니들도 무척 기뻐하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노 대통령의 발언이 기념사로 끝나지 않도록 열린우리당도 과거사법 등 관계법령 제정에 적극 나서고 외교통상부 역시 이런 뜻과 의지가 실현될 수있도록 외교정책을 수립하는 등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라며 "정치권뿐 아니라 시민단체, 관련 법률단체들도 모두 힘을 모아야한다"고 말했다.

김은식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사무국장도 "이번 기념사는 일본에 일정 정도 책임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고 한국 정부도 책임질 부분은 당당히 책임을 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는 점에서 상당히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기념사는 더이상 배상을 청구하지 않겠다고 한 김영삼 전 대통령과일본의 사죄를 받는 조건에서 과거보다 미래 지향적 관계를 구축해가겠다고 한 김대중 전 대통령 당시의 발언에 비해 진전된 내용을 담고 있다"며 "대일 청구권 문제도정부 차원의 조치를 강구하고 있음을 공식화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양미강 아시아 평화와 역사교육연대 운영위원장도 "일본 정부의 배상 문제를 언급하고 합일협정 과정에서 한국 정부의 잘못을 인정하면서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고한 것은 다소 전향적인 입장"이라며 "환영할 만하다"고 말했다.

한편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등 8개 단체로 구성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단체 전국연합은 이날 서울 정동 세실레스토랑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먼저 민관 합동으로 강제동원 피해자들에 대해 보상을 추진해야 하며 그 때 일본 사회에도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피해자들의 일제 강제동원 피해 신고를 돕기 위한 신고 지원센터를시.도 단위로 마련하고 일본 정부로부터 넘겨받은 강제동원 피해자 48만명의 명부를정부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전면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또 대통령 기념사에 대해 "여태까지 피해자들의 울분을 해소해주는 말씀을 한 대통령이 없었다.

특히 민관 보상위원회 결성 계획에 대해 환영하며 이를 실천할 정부의 의지에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고 밝혔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