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02 17:38 수정 : 2005.03.02 17:38

지난달 23일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교육장에서 ‘기업 사회공헌활동 활성화와 거버넌스의 확대’라는 주제의 토론회가 열려 기업과 시민단체의 협력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힘 합치면 나눔의 파이 커집니다

시민단체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주는 점수는 대체로 짠 편이다.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의 홍보에 치우친 나머지 무리한 간섭을 해오기 때문이라는 게 주된 이유다. 기업은 기업대로 시민단체에 불만이 많다. 기업이 협력할 수 있는 분야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무턱대고 ‘도움달라’는 식으로 시민단체가 협력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고 볼멘소리다. 기업의 사회공헌팀과 시민단체가 만난 사석에서 심심찮게 들을 수 있는 얘기다.

지난달 23일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교육장에서는 이런 문제의식으로 색다른 행사가 열렸다. ‘민관협력포럼’이 주최한 ‘기업 사회공헌활동 활성화와 거버넌스의 확대’라는 제목의 토론회였다. 사회공헌 활동이 활발한 요즘 기업과 시민단체가 서로 상생하고 협력하는 길을 찾으려는 시도다. 오수길 교수(한국디지털대학교 행정학과)의 사회로 열린 이번 토론회에는 기업사회공헌팀과 다수의 시민단체 담당자들이 참석해 솔직하고도 열띤 토론을 벌였다. 발제에 나선 유덕종 한화그룹 사회공헌팀 부장은 “요즘은 대기업 중심이지만 기업들이 사회환원에 많은 관심을 지니고 있다”고 운을 뗀 뒤 시민단체의 애정 어린 감시를 당부했다.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의 이인경 사무국장은 “미인가시설 지원에 등을 돌린 채 자체적으로 빈곤해결이나 집수리 사업 등을 해나가려는 경향이 뚜렷하다”며 지역기반의 풀뿌리 시민단체와 연계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 부장은 “기부금 정산이 되지 않는 민간단체의 지원은 기업에게도 과제”라며 “앞으로 기부금 인정과 관련한 법령이 개정돼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사회공헌 사업에 임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유진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