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03 17:31 수정 : 2005.03.03 17:31

도입때도 사용범위 엄격 제한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식별번호를 일괄적으로 도입한 나라는 많지 않다.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주민 식별번호를 도입하는 경우에도 그 사용 범위를 공적 영역 등으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오스트리아, 벨기에, 그리스 등 상당수 나라들은 국민들에게 일련번호를 아예 부여하지 않는다. 독일은 연방 신분증제도를 운영하지만,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고유 식별번호는 부여하지 않는다.

미국의 경우 사회보장번호를 사용하는데,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는 점에서 ‘사실상’ 주민등록번호 구실을 한다고 볼수 있다. 다만 번호가 무의미한 숫자 9자리의 조합으로 돼 있으며, 손쉽게 새 번호를 신청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스웨덴 역시 출생과 동시에 생일과 성별을 알아볼 수 있는 일련 번호를 주민들 모두에게 부여한다. 그러나 이 번호의 사용 목적을 복지행정과 지방자치단체 운영 등으로 한정하고, 민간 영역에서의 사용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지역이나 출생년월일, 성별, 신고순서 등이 포함된 국민식별번호를 사용하는 나라는 중국 등 옛 사회주의권 나라들밖에 없다. 헝가리의 경우 주민등록번호와 유사한 제도가 있었으나, 동구권 몰락 이후 헌법재판소에 의해 위헌 판정을 받고 결국 폐지했다.

서수민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