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이어 "광주시민이 요구하는 내용에 대해 진상을 밝히는 것이 국방부의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신 대변인은 유효일 국방차관이 5.18 민주화운동 당시 대대장으로 참가했던 "20사단 62연대 3대대 문제에 대해 국방부가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해 3대대 뿐아니라 민주화운동 당시 군의 진압작전 전반에 대한 검토가 이뤄질 것임을 시사했다. 국방부는 다음 달 국방부와 민간위원으로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를 구성하고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민간위원과 국방부 위원을 2 대 1의 비율로 배정하기로 했다. 위원장은 위원회 소속 민간위원으로 호선된다. 국방부는 진상규명위원회를 구성해 우선 진상규명이 필요한 사안들을 결정하고 이후 사안별 규명활동을 벌여나갈 방침이다. 이에 따라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군의 진압작전 역시 집중 검토.토의돼 규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본격적인 조사활동을 벌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이미 실미도사건과 녹화사업을 규명할 과거사로 결정, 지난 해 9월과 11월 각각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조사단이 수집한 기초자료를 진상규명위원회에 넘겨 활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녹화사업은 전두환 정권 초기인 1981~1983년 사이에 운동권 학생들을 강제 징집해 '특별정훈교육'을 시켜 머릿속 불온 사상을 순화(녹화)한다는 명분으로 실시된 것으로 대상자는 265명이었고 이 가운데 6명이 의문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미도사건은 1968년 4월 북파공작을 위해 '지옥훈련'을 받은 공군 특수부대원들이 3년4개월간 북파 기회가 주어지지 않자 훈련장소인 실미도를 탈출해 청와대로 향하던 중 사살되거나 자폭한 사건으로 지난 해 영화 상영을 계기로 국민적 관심사로 떠올랐으나 진상은 철저히 은폐돼 왔다. 국방부는 이날 앞서 유 차관의 5.18민주화운동 당시 과격 진압활동 의혹에 대해 고경석 감사관을 단장으로 감찰, 헌병, 인사 등 총 8명으로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한 결과, 유 차관이 이끌었던 20사단 62연대 3대대가 광주시민과의 직접적인 충돌, 교전행위, 교도소내 가혹행위, 반인권적인 진압행위 등에 관련됐다는 구체적인 진술.증거.기록 등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서울=연합뉴스)
|
윤국방 “5·18 민주화운동 과거사위에서 검토” |
윤광웅 국방장관은 4일 국방부가 구성하게 될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에서 5.18 광주민주화 운동을 집중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장관은 이날 신현돈 대변인을 통해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 광주시민이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교도소 폭행과 구타 등 일련의 문제에 대해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에서 집중 토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광주시민이 요구하는 내용에 대해 진상을 밝히는 것이 국방부의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신 대변인은 유효일 국방차관이 5.18 민주화운동 당시 대대장으로 참가했던 "20사단 62연대 3대대 문제에 대해 국방부가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해 3대대 뿐아니라 민주화운동 당시 군의 진압작전 전반에 대한 검토가 이뤄질 것임을 시사했다. 국방부는 다음 달 국방부와 민간위원으로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를 구성하고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민간위원과 국방부 위원을 2 대 1의 비율로 배정하기로 했다. 위원장은 위원회 소속 민간위원으로 호선된다. 국방부는 진상규명위원회를 구성해 우선 진상규명이 필요한 사안들을 결정하고 이후 사안별 규명활동을 벌여나갈 방침이다. 이에 따라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군의 진압작전 역시 집중 검토.토의돼 규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본격적인 조사활동을 벌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이미 실미도사건과 녹화사업을 규명할 과거사로 결정, 지난 해 9월과 11월 각각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조사단이 수집한 기초자료를 진상규명위원회에 넘겨 활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녹화사업은 전두환 정권 초기인 1981~1983년 사이에 운동권 학생들을 강제 징집해 '특별정훈교육'을 시켜 머릿속 불온 사상을 순화(녹화)한다는 명분으로 실시된 것으로 대상자는 265명이었고 이 가운데 6명이 의문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미도사건은 1968년 4월 북파공작을 위해 '지옥훈련'을 받은 공군 특수부대원들이 3년4개월간 북파 기회가 주어지지 않자 훈련장소인 실미도를 탈출해 청와대로 향하던 중 사살되거나 자폭한 사건으로 지난 해 영화 상영을 계기로 국민적 관심사로 떠올랐으나 진상은 철저히 은폐돼 왔다. 국방부는 이날 앞서 유 차관의 5.18민주화운동 당시 과격 진압활동 의혹에 대해 고경석 감사관을 단장으로 감찰, 헌병, 인사 등 총 8명으로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한 결과, 유 차관이 이끌었던 20사단 62연대 3대대가 광주시민과의 직접적인 충돌, 교전행위, 교도소내 가혹행위, 반인권적인 진압행위 등에 관련됐다는 구체적인 진술.증거.기록 등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서울=연합뉴스)
그는 이어 "광주시민이 요구하는 내용에 대해 진상을 밝히는 것이 국방부의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신 대변인은 유효일 국방차관이 5.18 민주화운동 당시 대대장으로 참가했던 "20사단 62연대 3대대 문제에 대해 국방부가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해 3대대 뿐아니라 민주화운동 당시 군의 진압작전 전반에 대한 검토가 이뤄질 것임을 시사했다. 국방부는 다음 달 국방부와 민간위원으로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를 구성하고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민간위원과 국방부 위원을 2 대 1의 비율로 배정하기로 했다. 위원장은 위원회 소속 민간위원으로 호선된다. 국방부는 진상규명위원회를 구성해 우선 진상규명이 필요한 사안들을 결정하고 이후 사안별 규명활동을 벌여나갈 방침이다. 이에 따라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군의 진압작전 역시 집중 검토.토의돼 규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본격적인 조사활동을 벌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이미 실미도사건과 녹화사업을 규명할 과거사로 결정, 지난 해 9월과 11월 각각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조사단이 수집한 기초자료를 진상규명위원회에 넘겨 활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녹화사업은 전두환 정권 초기인 1981~1983년 사이에 운동권 학생들을 강제 징집해 '특별정훈교육'을 시켜 머릿속 불온 사상을 순화(녹화)한다는 명분으로 실시된 것으로 대상자는 265명이었고 이 가운데 6명이 의문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미도사건은 1968년 4월 북파공작을 위해 '지옥훈련'을 받은 공군 특수부대원들이 3년4개월간 북파 기회가 주어지지 않자 훈련장소인 실미도를 탈출해 청와대로 향하던 중 사살되거나 자폭한 사건으로 지난 해 영화 상영을 계기로 국민적 관심사로 떠올랐으나 진상은 철저히 은폐돼 왔다. 국방부는 이날 앞서 유 차관의 5.18민주화운동 당시 과격 진압활동 의혹에 대해 고경석 감사관을 단장으로 감찰, 헌병, 인사 등 총 8명으로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한 결과, 유 차관이 이끌었던 20사단 62연대 3대대가 광주시민과의 직접적인 충돌, 교전행위, 교도소내 가혹행위, 반인권적인 진압행위 등에 관련됐다는 구체적인 진술.증거.기록 등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