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강로1가 자유시민연대 사무실에서 이 단체 비상대책위원회와 청년회원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잡지에 일제식민지배를 옹호하는 기고문을 실은 한승조 공동대표(고려대 명예교수) 문제에 대한 지도부의 미온적 태도를 비판하며 지도부 총사퇴를 촉
|
자유시민연대 비대위 “지도부 사퇴 촉구”
고대 총학생회 “명예교수직 박탈 요구”
‘일제의 한반도 식민지배는 축복’이라는 한승조(75)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의 망언(일본 월간지 <정론>, <한겨레> 5일치 1면 참조) 파문이 커지고 있다.
한씨가 공동대표로 있는 자유시민연대의 비상대책위원회는 6일 서울 용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제 식민지를 미화하는 자유까지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는 없다”며 “한 교수의 회원 자격을 즉시 박탈하고 지도부도 동반사퇴하라”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성명을 통해 “자유시민연대 청년회원들은 한승조 교수의 기고 글에 대해 전적으로 의견을 달리할 뿐 아니라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분노하며, 한 교수의 주장이 자유주의 진영 전체의 뜻을 왜곡하는 빌미가 될 것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자유시민연대 지도부가 이번 사태를 맞아 미온적인 자세를 보여 오해를 증폭시킨 측면이 있다”며 지도부를 비판했다. 고려대는 한 교수 발언 파문이 학교에 대한 비난으로 이어지자, 7일 임시 처장회의를 열어 후속조처를 논의하기로 했다. 그러나 동문 및 재학생들이 요구하고 있는 한 교수의 명예교수직 박탈에는 난색을 보이고 있다. 고려대 관계자는 “7일 임시처장 회의를 통해 한씨 본인의 정확한 견해를 조사한 뒤 후속조처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며 “명예교수는 원칙적으로 종신직이며, 명예교수의 해촉에 대한 명문화된 규정은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한씨는 이미 10년 전에 정년 퇴임했으며, 명예교수는 학교에 25년 이상 근속했던 교수에게 주는 ‘명예직’일 뿐”이라며 “명예교수에 대한 지원은 한 달에 20여만원의 연구 보조비뿐”이라고 덧붙였다. 고려대는 지난 4일 오후 파문이 확대되자 “일제 강점과 관련된 기고 내용은 민족과 역사를 같이해 온 고려대학교의 입장이 아님을 천명한다”는 공고를 홈페이지에 띄우고 진화에 나섰다. 그러나 학생들은 성명서와 인터넷 게시판 등을 통해 ‘한씨의 명예교수직을 박탈하라’는 요구를 봇물처럼 쏟아내고 있다. 고려대학교 총학생회는 지난 4일 오후 성명을 내어 “한승조 교수는 국민 앞에 무릎꿇고 사죄해야 하며, 또한 명예교수직의 박탈을 학교에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고려대학교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도 “학교가 생긴 지 100주년이 되는 기념비적인 해인 올해 초부터 한승조의 망언 파동으로 100년 동안 고대가 이뤄놓은 모든 것이 한순간에 무너지는 것을 느낀다”는 졸업생과 재학생들의 글이 계속해서 올라오고 있다. 한편, 군사평론가 지만원씨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쓴 ‘한승조 교수에 돌 던지지 말라’는 글에서 “박정희는 일본군에 몸담으면서 일본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기에 위업을 달성할 수 있었다”며 “일본의 선진화된 과학기술과 지식과 절제로 훈련된 정신은 잠자던 조선인들에게 커다란 자극이 됐음을 인정한다”고 주장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