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
시민단체 “사퇴 당연..고위공직 부패척결 계기돼야” |
이헌재 경제부총리가 부동산 투기 의혹을 털어내지 못하고 7일 사퇴한데 대해 시민단체들은 일제히 "당연한 결과"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면서 "일회성이 아니라 고위공직자의 투명한 재산형성을 위한 계기가 돼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의 윤순철 정책실장은 "이 부총리의 사퇴는 고위공직자의 불투명한 재산형성에 경종을 울린 것"이라며 "이 부총리 일가의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밝히는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의 정선애 정책실장은 "청와대는 이 부총리가 경제를 살렸다는 공로로 비호했지만, 경제 정책의 수장이 투기의혹을 안은 채 정책을 추진한다면신뢰도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토지정의시민연대 박창수 정책위원은 "그의 결정은 환영하지만 이에 만족할 수없다"며 "이 부총리의 투기 의혹과 관련해 위법 사실이 드러나면 법적 책임을 물어서 공직사회의 `일벌백계'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는 나아가 이번 이 부총리 파문을 개인적인 의혹으로만 치부하지 말고이를 발판 삼아 고위 공직자의 부패와 부정한 축재를 감시하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 재발을 막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경실련 윤 실장은 "백지신탁제, 공직자 윤리법 등 각종 개혁 입법을 조속히 제ㆍ개정하고 고위공직자가 일정액의 재산 변동이 있으면 그 명세를 반드시 소명토록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참여연대 이재명 투명사회국장도 "이번 일을 계기로 백지신탁제 등 공직자 윤리확립을 위한 조치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며 "고위공직자는 능력보다 도덕성이 우선이므로 청와대의 인사검증 시스템도 다시 다듬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