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등산객이 3일 오후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보복폭행 사건 현장인 경기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청계산 자락 신축공사장을 흘끗보며 지나가고 있다. 경찰은 취재진이 따라붙는다는 이유로 이곳의 현장조사를 하지 않기로 했다. 연합뉴스
|
김승연 회장 벤츠 차량번호 1001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청계산에 가지도, 직접 때리지도 않았다”며 보복폭행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는 가운데, 김 회장의 승용차가 청계산 공사장에 있었음을 추정하게 하는 증언이 나왔다. 경기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청계산 근처에 사는 한 주민은 3일 <한겨레> 기자를 만나, 서울 북창동 ㅅ클럽 종업원들이 납치·폭행당한 지난 3월8일 밤 9시20분께 “차량번호 100×인 승용차가 공사장 쪽으로 올라갔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지난달 29일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출두하면서 한화 계열사 소유의 ‘서울×××1001’ 검은색 벤츠 승용차를 타고 왔다. 이 목격자는 “방송에서 9시 뉴스가 시작하고 얼마 뒤 검은색 고급 승용차와 은회색 비엠더블유(BMW) 등 차량 6대 정도가 헤드라이트 대신 안개등을 켜고 느린 속도로 공사장 쪽으로 올라갔다”고 당시 상황을 상세히 기억했다. 그는 “차량 가운데 한 대의 차량번호가 외우기 쉬운 100×이라 아직도 기억난다. 고급 승용차에 번호도 특이해 어디 높은 사람이 근처 음식점에 온 줄 알았다”고 말했다. 그는 “끝자리는 정확하게 보지 못했지만 100까지는 확실하다”고 덧붙였다. 한화 쪽에 확인한 결과, 한화 소유 차량 가운데 차량번호가 100×로 끝나는 차량은 김 회장이 타고 온 벤츠 승용차 말고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달라는 한화 관계자는 100× 번호를 가진 차량이 더 있느냐는 질문에 “1001에 이어 1002, 1003으로 차량번호가 나갈 리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남대문경찰서는 지난 1일 김 회장 집을 압수수색하면서 한화 계열사에 딸린 에쿠스, 체어맨 차량도 함께 압수수색했다. 이들 차량의 번호는 현장에서 목격된 100× 번호와는 크게 다르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 경찰, ‘보복폭행’ 피해사실 확인하고도 감춘채 언론에 공개▶ 김회장 ‘보복폭행’, 철거용역업체 직원 ‘해결사’로 동원
▶ ‘뒷북 수사’ 물증 아직 확보못해…차남 친구 찾는 전담반 소득없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