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처에 따르면 지난 4월부터 공공기관운영법이 시행되면서 공기업 감사는 임원추천위-공공기관운영위-기획처장관 제청-대통령 임명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준정부기관 감사는 임원추천위-공공기관운영위-기획처장관 임명의 경로를 거치게 된다. 기획처 관계자는 "비상임이사들이 주도하는 임원추천위와 민간인사들이 많은 공공기관 운영위 등에서 낙하산인사 의혹 등에 대한 검증이 이뤄질 것"이라면서 "앞으로 낙하산인사 시비는 많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윤근영.이 율 기자 keunyoung@yna.co.kr (서울=연합뉴스)
|
‘감사포럼’ 상임감사의 70%가 정치권 출신 |
최근 문제가 됐던 `감사 포럼' 소속의 상임감사들 가운데 정치권 관련자가 7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기획예산처의 `공공기관알리오 시스템'에 따르면 `감사 포럼' 소속 공공기관 감사들의 주요 경력이 이렇게 조사됐다. 감사포럼 소속 감사는 모두 82명이며 이중 상임감사는 61명, 비상임감사는 21명으로 집계됐다.
상임감사 61명 가운데 정치권과 관련된 인물은 43명으로 70.5%를 차지했다. 또 감사원 출신은 8명이었다.
회계법인.의료.시민단체.언론.기업.금융 출신 등 민간분야 출신은 거의 찾아보기 힘든 상태다. 이에 따라 상임감사의 거의 대부분이 정치인.공무원.군인 출신인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비상임 감사 21명 가운데 정치권 출신은 1명에 불과했다. 비상임 감사의 대부분은 변호사.회계사.연구원 등이었다. 비상임 감사는 상임감사에 비해 급여가 적은 편이다.
기획처 관계자는 "감사포럼은 작년말에 상임 감사 위주로 구성됐으며 비상임 감사들은 희망하면 가입이 가능하다"면서 "따라서 감사포럼 회원의 대부분은 규모가 큰 공기업.준정부기관의 감사들"이라고 설명했다.
기획처는 공공기관 감사에 대한 인사의 투명한 절차가 수립되면서 낙하산 논란도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기획처에 따르면 지난 4월부터 공공기관운영법이 시행되면서 공기업 감사는 임원추천위-공공기관운영위-기획처장관 제청-대통령 임명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준정부기관 감사는 임원추천위-공공기관운영위-기획처장관 임명의 경로를 거치게 된다. 기획처 관계자는 "비상임이사들이 주도하는 임원추천위와 민간인사들이 많은 공공기관 운영위 등에서 낙하산인사 의혹 등에 대한 검증이 이뤄질 것"이라면서 "앞으로 낙하산인사 시비는 많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윤근영.이 율 기자 keunyou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획처에 따르면 지난 4월부터 공공기관운영법이 시행되면서 공기업 감사는 임원추천위-공공기관운영위-기획처장관 제청-대통령 임명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준정부기관 감사는 임원추천위-공공기관운영위-기획처장관 임명의 경로를 거치게 된다. 기획처 관계자는 "비상임이사들이 주도하는 임원추천위와 민간인사들이 많은 공공기관 운영위 등에서 낙하산인사 의혹 등에 대한 검증이 이뤄질 것"이라면서 "앞으로 낙하산인사 시비는 많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윤근영.이 율 기자 keunyou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