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해역에 잠수요원 25명 투입
조타실·선실 중심 수색
지난 12일 새벽 중국 다롄(大連) 남동쪽 38마일 해상에서 중국 컨테이너선 진성(金盛)호와 충돌, 침몰한 골든로즈호에 대한 선체수색을 맡을 구난회사가 결정됨에 따라 실종선원에 대한 생사확인 작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골든로즈호 관리회사인 부광해운의 한 관계자는 20일 "옌타이(烟臺)에 소재한 잠수인양 전문업체인 차이나 옌타이 샐비지사와 정식으로 위탁 계약을 체결하고 실종자 전원의 생사가 확인될 때까지 선체수색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선체수색 민간위탁은 중국측 해사당국이 잠수 기술과 장비 등의 부족으로 선체수색을 벌일 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고 중국법에 따르면 선체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는 내부 수색은 선박 보유자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의견 등을 제시한 데 따른 것이다.
양측은 전날 오후 2시(현지시각)부터 옌타이 현지에서 위탁계약 체결을 위한 협의에 들어가 자정 무렵 세부절차를 마무리 짓고 계약서에 정식 서명했다.
이 관계자는 "우선 가장 시급한 실종자 생사확인을 위해 선체 내부 수색을 실시키로 했으며, 선체인양 문제는 계약 내용에 포함시키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업체로부터 실종자 수색에는 정상 조건에서 12일 정도 걸리고 기상조건이 나쁜 경우를 감안하면 최대 18일 가량 소요될 것이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골든로즈호 실종자는 한국인 7명, 미얀마 8명, 인도네시아 1명 등 총 16명이다.
이 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선체수색용 바지선 즈푸다오호가 이미 톈진(天津)을 떠나 전날 밤 10시께 사고해역에 도착해 이미 선체수색 준비를 시작했으며, 현재 이 선박은 선체 고정작업을 오전 중에 이미 끝내고 물때가 되는 저녁 7시께 첫 입수를 준비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이 최상의 조건에서 이뤄질 경우 빠르면 이날 밤 중으로 첫 실종자 생사확인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선체수색은 사고 당시 3명의 당직자가 근무를 서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조타실이 첫 수색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구난업체측은 이번 수색작업에 전문 잠수요원 25명과 바지선 작업요원 등 총 50여 명을 투입해 조석 시간에 맞춰 1회에 최대 35분 정도씩 8차례 잠수작업을 벌여 침몰된 선체 전반에 상황을 파악한 뒤 조타실과 선실 등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실종자 수색을 벌일 계획이다. 선체수색은 사고 당시 3명의 당직자가 근무를 서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조타실이 첫 수색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 사고대책반의 한 관계자는 "실종자가 사체로 발견될 경우 신원 확인 및 유해 송환 등 절차가 신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중국측과 협의를 거쳐 최대한 협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사체 처리는 해상에서 바로 우리측 선박에 실어 본국으로 바로 송환하는 방안과 일단 옌타이로 시신을 옮긴 뒤 항공편으로 운구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오전 10시 실종자 가족들이 묵고 있는 빈하이궈지(濱海國際)호텔 2층 대회의실에서는 선사측 대표, 대책반 관계자, 옌타이 해사당국 간부, 구난회사 관계자 등 참석한 가운데 가족들에게 선체 수색작업 계획 전반을 설명하고 질의에 응답하는 설명회가 열렸다. blog.yna.co.kr/phillife 조계창 특파원 phillife@yna.co.kr (옌타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