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5.20 20:55 수정 : 2007.05.20 20:55

전국 중·고교 교복 공동구매 현황

값 낮추고 협의구매로 확산 막아
학교서 “선택권 적다” 방해도

교복값 거품을 빼려는 공동구매가 늘고 있는 가운데, 일부 교복업체가 공동구매 값 이하로 교복을 파는 방식으로 이를 방해하고 있다.

여름 교복값은 지난해 10만~12만원보다 20~30% 정도 내린 8만~9만원대다. 대형 교복업체 4곳은 지난 3월 여론에 밀려 교복값을 내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교복을 공동구매하는 학교도 크게 늘었다.(표 참조) 공동구매를 하면 여름 교복 한 벌 값은 5만원대까지 내려간다.

공동구매가 이처럼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이를 방해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서울 송파구 ㅅ중학교는 지난달 교복업체 ㅇ사와 여름 교복을 5만6천원에 공동구매하기로 했다. 하지만 한 달이 지난 현재 이 업체의 교복을 산 학생은 별로 없다. 다른 업체에서 공동구매 가격보다 낮은 5만3천원에 교복을 팔고 있기 때문이다. 이달 초 중소업체인 ㅇ사와 4만9천원에 공동구매를 하기로 한 경기 광명시 ㅇ중학교도 주변 대리점에서 가격을 3만9천원까지 내렸다.

박이선 참교육학부모회 부회장은 “대형 교복업체들이 공동구매 값보다 가격을 더 내리는 식으로 공동구매를 깨는 사례가 적지 않다”며 “단기적으로 보면 학생들에게 이득이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공동구매를 추진하기 어려워져 손해가 된다”고 말했다.

이른바 ‘협의구매’ 방식도 공동구매를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한다. 업체 3~4곳이 비슷한 가격에 학교와 계약하는 협의구매 값은 정상 가격(8만원)보다는 낮지만, 공동구매 가격(5만원)보다 높은 6만~7만원에서 형성된다. 박범이 참교육학부모회 서울지부장은 “협의구매는 학부모 수고를 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공동구매로 가격을 더 낮출 기회를 빼앗고 공동구매 분위기를 위축시키는 부작용이 있다”고 말했다.

학교에서 공동구매를 방해하는 사례도 있다. 경기 평택시 ㅅ중학교는 지난달 교장을 비롯한 교사들의 반대로 교복 공동구매 추진이 무산됐다. 학교운영위원회 회의에서 공동구매를 추진하자고 제안했지만, 교장·학년부장 등 교원위원 대부분이 반대했다. 이 학교 최아무개 교장은 “공동구매는 소비자 선택권이 줄어드는 등 단점이 있다”고 말했다.

송영주 한국교복협회 이사는 “일부 대형 교복업체들은 공동구매를 아예 추진하지 않은 학교에는 8만원대, 공동구매를 추진하는 학교에는 협의판매 형식으로 6만~7만원대, 공동구매를 실시하는 곳에는 5만원대에 교복을 팔고 있다”며 “고무줄 교복값에 결국 피해보는 것은 학생과 학부모들”이라고 말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